인플레 ‘빨간불’에 시중자금 회수 나서
최근 중국이 기준금리를 두 달 만에 다시 인상하면서, 이 같은 정책이 국내 증시에 미치게 될 영향에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중국 런민은행은 5일 ‘금융기관의 예금 및 대출금리를 0.25%포인트씩 인상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금리 인상으로 1년 만기 정기예금 금리는 연 3.25%, 대출금리는 연 6.31%로 상승했습니다.
중국의 이번 금리 인상은 2월 초 올해 처음 금리 인상을 실시한 지 불과 두 달 만에 빠른 속도로 이뤄졌습니다. 지급준비율(지준율)은 올해 들어서만 세 번이나 올렸습니다. 이처럼 중국이 지난해부터 금리와 지준율 인상 등에 나서고 있는 것을 ‘긴축정책’이라고 합니다.
긴축정책이란 경기가 과열되었을 때 과열된 경기를 억제하려는 목적으로 시행하는 재정정책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경기가 활발해져서 시중의 통화량이 늘어나면 화폐의 가치가 떨어지고 물가는 상승하게 됩니다. 이 경우 정부와 중앙은행은 과열된 물가를 조절하고 화폐의 가치를 끌어올리기 위해 지준율 인상, 공개시장 매각, 금리 인상 등 여러 정책을 쓰게 됩니다.
주택 가격을 비롯한 부동산 가격 역시 치솟고 있습니다. 식료품을 중심으로 급등하는 물가와 자산 버블로 인해 저소득층의 부담이 가중되면서 중국 정부는 이 같은 상황을 통제해야 할 필요성이 높아졌습니다. 치솟은 물가에 따른 실질 구매력 하락은 소비 확대의 걸림돌로 작용하는 것은 물론이고 자칫 사회불안으로 이어질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 같은 긴축 조치와 추가 긴축 가능성 등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중국과 신흥국 증시에 부담이 돼 왔던 것이 사실입니다. 특히 중국발 긴축을 우려해 외국인들이 신흥국 증시에서 이탈하면서 올해 초 신흥국 증시가 동반 하락하는 등 부진을 면치 못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중국의 긴축정책 기조가 올해 상반기까지 계속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중국 정부가 빠른 속도로 기준금리 인상을 두 번 실시하면서, 이미 긴축정책이 막바지에 접어든 것이란 관측 역시 많아지고 있습니다. 이 경우 긴축과 관련된 불확실성으로 한동안 부진했던 중국 증시가 강세를 보일 수 있습니다. 변동성 측면에서 부담 요인이 됐던 중국의 긴축 이슈가 완화될 경우 상반기 이후 국내 증시도 긍정적인 효과를 누릴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