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오, 윤여준, 박세일… 소장파 “친이도 친박도 아닌 중립인사가 맡아야”
우선 김형오 전 국회의장이 자주 거론된다. 4·27 재·보궐선거 패배로 시끄러운 당내를 추스르고 전당대회를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선 중립 성향의 중진이 필요하다는 이유에서다. 김 전 의장은 이명박 정부의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부위원장을 지냈지만 이에 앞서 박근혜 대표 체제 시절엔 당 사무총장을 지냈다. 친이(친이명박) 친박(친박근혜)계와 두루 무난한 편이다.
소장파 의원들을 중심으로 박세일 전 의원과 윤여준 전 환경부 장관 영입론도 거론되고 있다. 17대 국회에서 한나라당 정책위의장을 지낸 박 전 의원은 정치권을 떠난 뒤에도 당내 소장파들에게 이론적 토대를 제공해왔다. 요즘 소장파들이 제기하는 ‘보수 가치 회복’도 박 전 의원의 지론 가운데 하나다. 한 소장파 의원은 “비대위가 경선 관리에 머무르지 않고 개혁 프로그램을 입안하는 기능까지 수행하려면 박 전 의원처럼 보수계층을 대표하는 명망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재·보선 이후 김 전 의장처럼 친이, 친박도 아닌 중립 성향 의원들의 역할이 부각되고 있다. 그동안 중립 성향 의원들은 친이 주류가 신뢰하지 않아 당 지도부나 정부에 중용되지 않았고 친박계에서도 “우리 편이 아니다”라며 소외하는 경우가 많았다.
6일 치러지는 새 원내대표 경선에서도 중립 성향 후보들이 이전보다 힘을 받는 분위기다. 친이계인 안경률 이병석 의원에게 밀리는 것으로 여겨졌던 황우여 이주영 의원은 재·보선 후 이런 분위기를 감안해 전격 단일화에 합의했다는 후문이다. 경선 1차 투표에서 2위만 하면 결선 투표에서 해볼 만하다는 것이다.
중립 성향 인사들은 이명박 정권 후반기에 들어서며 꾸준히 행보를 확대했다.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장인 남경필 의원은 ‘국회 바로 세우기’를 내세우며 목소리를 키웠다. 원희룡 사무총장과 나경원 최고위원은 모두 정권 초에는 중립으로 분류된 인사다.
이승헌 기자 ddr@donga.com
최우열 기자 dnsp@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