不助苗長者寡矣는 벼의 싹을 뽑아서 무리하게 조장하는 일을 하지 않는 사람이 적다라는 말로, 결국 조장하는 일을 하는 사람이 많다는 뜻이 된다. 이중부정의 구문과 같다. 以爲無益은 호연지기의 양성을 무익하다고 여긴다는 뜻이다. 以爲∼는 ‘∼라고 여긴다’는 뜻의 판단문을 이룬다. 舍之는 호연지기의 양성을 버려둔다는 말로, 舍는 버릴 捨(사)와 같다. 耘苗는 벼의 싹이 자라도록 주위의 잡초를 제거하는 일이다. 非徒無益而又害之의 주어는 알苗者(알묘자)인데, 바로 앞에 나왔으므로 생략됐다. 非徒∼而又∼는 그저 ∼일뿐만 아니라 도리어 ∼하기까지 한다는 뜻을 나타낸다.
맹자는 행동할 때마다 義(의)를 실천함으로써 義를 차츰차츰 축적해 나가는 集義(집의)를 통해서 호연지기를 기를 수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맹자의 관점에서 보면, 告子(고자)처럼 義를 축적하지 않고서 억지로 마음을 제재하고자 한다면, 반드시 正助(정조·미리 기대하거나 억지로 조장함)하는 병통을 면하지 못할 것이기에, 호연기지를 잘 기를 수도 없을 뿐 아니라 도리어 해치게 될 것이다. 자율적 인간이라면 호연지기를 길러 나의 주체가 전 우주와 일체가 되는 가슴 벅찬 충만감을 경험해야 하리라. 하지만 조급하게 굴지 말자. 호연지기는 무리하게 助長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