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본부는 10일 “서울 A대학병원 중환자실에 입원했던 30대 여성 1명이 이날 오전 뇌출혈로 숨졌다”고 밝혔다.
지난달 A대학병원에 원인을 알 수 없는 폐렴으로 입원한 환자는 모두 8명. 이 가운데 현재 4명은 중환자실에 있고 2명은 일반병실로 옮겼다. 사망자 1명을 제외한 1명은 퇴원했다.
▼ 임산부만 걸리나?… 산모 폐렴 발생률은 평소와 비슷 ▼
미확인 폐질환 Q&A
고윤석 서울아산병원 호흡기 내과 교수는 “일반 세균성 폐렴 환자와 달리 기관지에 염증이 생긴 뒤 폐섬유화가 진행된다는 점, 중증으로 진행되는 속도가 7∼10일로 빠르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데다 환자 8명 가운데 7명이 임산부라는 소식에 불안해하는 여성이 적지 않지만 전문가들은 “임신부 폐렴 환자가 다른 달보다 늘지 않았다. 지나치게 불안해 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전문의들의 설명을 문답으로 정리했다.
Q: 특정 지역에서 집단 발생했나.
A: 아니다. A대학병원에 한꺼번에 입원해 있지만 거주지는 서울(2명) 경기(1명) 광주(1명) 대전(1명) 충북(3명) 등 다양하다. 동네의원이나 병원에서 치료를 받다가 상태가 악화돼 옮겼다. 가족에게는 전염되지 않았다. 새로운 감염병이 될 확률은 낮다.(이종구 질병관리본부장)
A: 반드시 그렇지는 않다. 환자 8명 가운데 7명이 임신을 했거나 출산한 것은 맞다. 이 외 40대 남성이 한 명 있다. 임신부는 만삭에 가까울수록 면역력이 떨어지므로 중증으로 발전한 것으로 보인다. 분만 산모 1000명당 폐렴환자가 평균 1.51명가량 나온다.(양병국 질병관리본부 감염병센터장)
Q: 원인을 모르나.
A: 원인 불명의 폐렴이라고 해서 신종 폐렴은 아니다. 보통 원인이 밝혀지지 않는 폐렴 환자가 전체의 30% 정도다. 질병관리본부는 환자에게서 채취한 검체를 통해 폐렴을 유발한 바이러스가 무엇인지 확인 중이다. 결과는 12일에 나올 예정이다.(양병국 질병관리본부 감염병센터장)
Q: 바이러스성 폐렴은 맞나.
Q: 태아에게 옮길 수 있나.
A: 아니다. 만약 바이러스성 폐렴이라고 해도 바이러스는 폐에서만 활동한다. 태아 출산을 유도하는 이유는 치료 약물이 태아에게 영향을 미치거나 태아에게 공급되는 산소가 부족할 수 있기 때문이다.(송재훈 삼성서울병원 감염내과 교수)
우경임 기자 woohaha@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