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아하! 경제뉴스]국제 원자재값 떨어졌는데도 증시 왜 휘청거리나

입력 | 2011-05-16 03:00:00

국제 유동성 축소-경기둔화 신호로 ‘악재’ 해석




《 요즘 원자재 가격이 급락하면서 한국을 포함해 세계 각국 증시가 하락하고 있다는 경제 기사가 자주 나옵니다. 올 초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주가가 떨어진다는 기사를 본 것 같은데요, 왜 이번에는 원자재 가격 하락이 증시 약세로 이어지나요? 》

올해 초 튀니지에서 시작된 재스민 혁명이 이집트, 리비아 등 주요 산유국으로 번지자 국제 유가는 배럴당 110달러까지 치솟았고 세계 증시는 폭락했습니다. 신흥국에 국한됐던 원자재발(發) 물가 상승 압력이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으로 확산될 경우 세계 경제가 다시 침체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반영된 결과였습니다. 특히 원유 수입 의존도가 높은 한국은 물가뿐 아니라 경기와 기업이익이 직접적으로 큰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전망에 주가가 연일 연중 최저점을 새로 쓰는 약세장이 펼쳐졌습니다.

하지만 천정부지로 치솟기만 하던 원자재 가격이 이달 들어 곤두박질치면서 글로벌 증시는 다시 패닉에 빠졌습니다. 5월 들어 국제 유가는 13% 이상, 은 선물 가격은 25% 이상 떨어졌고 다른 귀금속과 곡물 가격도 5∼10%대의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코스피는 이달 들어 단 이틀을 제외하고 모두 하락하며 무려 100포인트 넘게 빠졌습니다. 중국(―1.39%) 미국(―1.68%) 일본(―2.04%) 영국(―2.37%) 등 세계 주요국 증시도 5월 들어 일제히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올 초 논리대로라면 원자재 가격 하락이 인플레이션 완화 기대로 이어지면서 증시에 호재로 작용해야 할 텐데 시장은 반대로 움직인 것입니다.

이유는 원자재 가격 하락이 글로벌 유동성 위축 및 글로벌 경기 둔화에 대한 신호로 해석됐기 때문입니다. 미국의 2차 양적완화가 예정대로 6월로 끝나는 데다 중국의 긴축 우려, 유럽 재정위기가 지속되면서 세계 경제 성장이 둔화돼 상품 수요가 줄어들 것이란 우려가 작용했습니다. 이달 들어 발표된 중국의 구매자관리지수(PMI) 하락, 미국의 실업자 수 급증 소식도 경기 둔화 우려를 부추겼습니다.

미국의 2차 양적완화 이후 글로벌 유동성은 위험자산에 속하는 신흥국 증시와 원자재 시장으로 대거 몰렸는데요, 원자재 시장에서 자금이 빠져나가자 위험자산 회피 가능성이 고개를 들면서 신흥국 증시에 특히 악재로 작용했습니다. 여기다 유럽연합(EU)의 그리스에 대한 추가 지원이 여전히 불투명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유로화 가치가 떨어지고 안전자산인 달러가 강세를 보이면서 상대적으로 위험한 원자재 가격이 큰 폭으로 떨어졌습니다. 글로벌 투자회사인 골드만삭스자산운용의 짐 오닐 회장도 최근 고객에게 보낸 편지에서 “원자재 가격이 하락하는데 주가는 왜 떨어지느냐”는 질문을 던지고는 “최근 몇 년 새 시장은 원자재 가격 상승을 세계 경제 성장의 상징으로, 원자재 가격 하락은 경제 하락의 상징으로 파악하고 있는 듯하다”고 진단했습니다.

하지만 이번 원자재 가격 급락이 차익실현을 노린 일부 투기자금 이탈과 상품시장에 대한 규제 강화로 인한 일시적 현상일 뿐 글로별 경기 둔화에 따른 실물수요 감소로 확대 해석할 필요가 없다는 의견도 만만치 않습니다. 미국 시카고상업거래소(CME)가 원자재 선물시장의 증거금을 다섯 차례나 올린 데다 미국 정부가 유가 투기세력을 특별조사하겠다고 나서면서 규제의 영향을 받아 상품 수요가 줄고 원자재 가격이 하락했다는 설명입니다. 중국의 경기선행지수가 1월을 저점으로 상승하고 있고 미국 고용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는 등 경기 회복세가 이어지고 있으며 글로벌 유동성이 아직 풍부해 원자재 가격의 장기 상승 추세는 계속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입니다.

중장기적으로는 원자재 가격 하락이 인플레이션 및 긴축 리스크를 낮추기 때문에 증시에 도움이 된다는 전망이 우세합니다. 원자재 가격 하락으로 중국이 추가 긴축에 나서지 않으면 하반기 경기회복이 더 빨라질 것이라는 분석도 있습니다. 고유가에 취약한 국내 시장의 특성상 3분기부터 수출 모멘텀이 부각되면서 증시에 긍정적일 것이란 전망도 나옵니다.

정임수 기자 imsoo@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