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내부 소요 사태에 대비해 폭동진압 경찰 조직인 '특별 기동대'를 창설한 데 이어 최근 중국에서 시위 진압용 장비를 대량으로 사들인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이 기존에 없던 폭동진압 경찰을 창설하고 선진 장비 확보에 나선 것은 실제 주민들의 동요 가능성이 그만큼 커졌다고 판단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20일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은 랴오닝성 선양 등지에서 중국 상인들을 통해 시위 진압용 부대가 사용할 최루탄, 헬멧, 방패 등을 대량으로 사들이고 있다.
북한은 기본 장비 외에도 방탄조끼를 비롯한 방호복, 시위대를 막을 때 쓰는 장애물 등의 구입도 타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움직임은 특히 지난 4월 북한 인민군 작전국장 출신인 리명수가 주상성을 밀어내고 경찰청장 격인 인민보안부장에 전격적으로 임명된 이후 나타나기 시작했다고 한다.
확보된 진압 장비는 북한이 작년부터 각 도, 시, 군별로 조직한 특별 기동대에 지급될 것으로 보인다.
작년부터 존재가 알려지기 시작한 북한의 특별 기동대는 역 광장, 시장, 학교, 공원 등 소요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특정 지역을 가정한 상황별 시위 진압 훈련을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이 이처럼 폭동진압 경찰 조직을 만든 것은 화폐개혁 이후 주민들의 '생계형 저항'이 점점 노골적이고 집단적인 경향을 띠는 것과 무관치 않다는 지적이다.
작년부터 시장을 단속하던 보안원이 상인들로부터 폭행을 당해 숨졌다거나 배급이 끊긴 주민 수백명이 식량을 요구하면서 시위를 벌였다는 등의 소식이 심심치 않게 전해진다.
아울러 이웃 중국까지 한때 긴장시킨 중동발 '재스민 혁명'의 여파를 우려했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이런 가운데 북한이 군대를 동원한 소요 진압보다 효율적이고 인명 살상이 적은 폭동 진압 경찰 조직의 운영에 자연스럽게 관심을 뒀다는 것이다.
한 대북 소식통은 "북한이 기존에 없던 폭동진압 경찰 조직을 육성하고 나선 것은 흥미로운 관전 포인트"라며 "북한 당국이 소요 사태의 발생 가능성이 대해 대단히 진지하게 고민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라고 지적했다.
일각에서는 이와 관련해 공안 대 인민보안부 사이의 교류를 통해 중국이 무장경찰 운영의 노하우와 장비를 북한에 제공해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중국의 멍젠주 공안부장은 지난 2월 방북해 주상성 당시 북한 인민보안부장과 만나 합의서에 서명하고 '협조 물자'를 전달했다.
중국은 1989년 천안문 시위대를 인민해방군을 동원해 유혈 진압해 나라 안팎의 비난 여론에 직면한 후 소요 사태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무장경찰 조직을 발전시켜왔다.
따라서 북한의 안정을 강력히 바라는 중국이 자국이 이 분야에서 쌓은 경험을 공안 기관 간의 교류를 통해 자연스럽게 전수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 밖에도 최근 들어 북한 상사원들이 베이징에서 중국 공안이 쓰는 도청 장비가 장착된 수사 차량과 무전기 등의 수입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북한이 내부 단속에 큰 신경을 쓰고 있음을 짐작케 한다는 지적이다.
디지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