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선전구호 후퇴… 목소리 낮춘 北

입력 | 2011-06-25 03:00:00

강성대국→강성국가… 경제목표 달성 실패 의식김정은 세습 조용히 진행




북한이 최근 조선중앙통신과 노동신문 등 주요 매체를 통해 그동안 표방해 온 통치선전구호 ‘강성대국’ 대신 ‘강성국가’라는 표현을 집중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약속한 ‘2012년 강성대국 진입’이 사실상 실패하면서 수위를 한 단계 낮춘 ‘강성국가’로 바꿔 김정은의 후계세습 공고화에 착수한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강성대국’이라는 단어는 1998년 8월 노동신문 정론을 통해 처음 등장한 뒤 김정일 체제의 핵심 통치구호로 사용돼 왔다.

노동신문은 19일 1면 전체에 걸친 사설에서 ‘강성국가’라는 단어를 13차례나 사용했다. 그러나 ‘강성대국’은 한 번도 사용하지 않았다. 이날 사설은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1964년 노동당 조직부 지도원으로 이른바 ‘당 사업’을 처음 시작한 것을 기념하는 내용이다.

이에 앞서 18일 열린 김정일의 당 사업 개시 경축 중앙보고대회에서도 김기남 노동당 비서는 대표보고를 하면서 ‘강성국가’라는 표현을 5차례나 사용했지만 ‘강성대국’이라는 단어는 쓰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북한은 최근 조선중앙방송과 평양방송에서 ‘강성국가’를 단독으로 쓰거나 ‘강성대국’과 섞어 쓰고 있다. 대북 소식통은 “과거에도 북한은 강성대국과 강성국가를 섞어 쓰긴 했지만 강성국가라는 표현은 대부분 1, 2회를 넘지 않았다”며 “이번처럼 주요 매체에서 집중적으로 강성국가를 사용하는 것은 이례적”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통일부 관계자는 “요즘 강성국가라는 표현의 사용이 두드러지긴 하지만 북한이 오래전부터 강성대국과 강성국가를 같이 써왔기 때문에 큰 변화로 단정 짓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그러나 김연수 국방대 교수는 “김정은의 후계세습이 기로에 선 상황에서 ‘강성국가’를 집중 부각하는 것은 큰 변화”라며 “지난달 김 위원장이 중국을 방문해 후계체제를 보장받는 과정에서 통치 선전구호를 바꾸기로 결정한 것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

윤상호 기자 ysh1005@donga.com  
김영식 기자 spear@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