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발유도 L당 2000원 넘어서
12일 농수산물유통공사에 따르면 배추 1포기의 전국 평균가격은 1790원으로 지난주보다 21.9%나 뛰었다. 상추는 100g 기준 1060원에 거래돼 지난주와 비교해 무려 67.6%나 올랐다. 같은 기간 시금치(1kg)는 40.1% 오른 5370원에, 애호박(1개)은 18.2% 상승한 1770원에 팔렸다.
문제는 앞으로다. 지금처럼 큰비가 계속되면 채소류는 잎이 녹아내릴 정도로 흐물거려 제대로 된 상품이 시장에 나오질 않는다. 과일 역시 당도(糖度)가 떨어지고 수확이 어려워져 공급량이 줄어든다. 정부가 고랭지·가을배추 계약재배를 평년 생산량보다 20% 늘리는 등의 대책을 내놨지만 당장 채소값을 떨어뜨리기에는 역부족이다.
기름값도 비상이다. 석유공사에 따르면 이날 전국 휘발유 평균가는 L당 1927.03원으로 한 달 전보다 16.21원 올랐다.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이 L당 2000원을 넘지 않을 것이라고 장담했지만 이미 서울지역은 2012.25원으로 ‘박재완 가이드라인’을 훌쩍 뛰어넘었다. 여기에 중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전년 동기 대비 6.4% 치솟으며 국내 물가에도 불안감을 드리우고 있다. 한국은행은 중국 소비자물가가 1%포인트 오르면 국내 소비자물가는 0.06%포인트 상승한다고 분석했다.
임희정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기후상황이 나빠지고 공공요금 인상, 대외변수 등도 물가에 결코 우호적이지 않다”며 “하반기 평균 물가상승률이 4% 이상으로 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상훈 기자 januar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