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 업체인 A사는 최근 한 대기업의 전산망 구축 사업에 참여하면서 ‘소스코드’(컴퓨터 프로그램에서 일종의 설계도)를 제출하라는 요구를 받았다. 대기업 측이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목적이라며 달라고 한 것. 이 대기업은 소스코드를 받은 뒤 A사와의 거래를 끊었다. 소프트웨어의 핵심적인 지식재산권인 소스코드를 훔쳐간 것이다.
이런 사례는 비일비재하다. 대기업이 고정적으로 납품을 받겠다는 명목으로 핵심 기술을 중소기업에 요구한 뒤 이 기술을 바탕으로 자신들이 신제품을 내놓는 경우는 아주 고전적인 기술탈취 사례로 꼽힌다.
대기업의 중소기업 기술탈취를 방지하기 위해 대기업이 부당하게 기술 자료를 요구하고 이 기술 자료를 유용하면 3배의 손해배상 책임을 지도록 하는 ‘하도급법 개정안’이 올해 3월 국회를 통과했다. 그러나 탈취 여부를 입증하기가 어려워 중소기업은 여전히 힘겨운 상황이다.
반대로 대기업이 중소기업의 기술 개발에 조금만 협력하면 중소기업은 날개를 달게 되고, 대기업도 그 혜택을 보게 된다.
특별취재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