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 같은 평화가 밀려드는 곳…
‘시간이 멈춘 섬’ 증도 갯벌. 온갖 생명이 꿈틀대는 한반도의 자궁. 푸른 소금꽃이 다발로 피는 땅. 바닷물은 갯골을 따라 맨 먼저 들어왔다가 역시 갯골을 따라 맨 나중에 빠진다. 짱뚱어 농게 칠게 등이 눈을 빼꼼히 뜨고 물거품 방울을 폴폴 날린다. ‘소금만 갉아먹다 생을 마감한 소금벌레/땡볕에 몸이 녹아내리는 줄도 모르고/흥얼흥얼, 고무래로 소금을 긁어모으는/비금도 태산 염전의 늙은 소금벌레 여자/짠물에 절여진 세월이 조글쪼글하다’(손택수 시인). 할머니 빈 젖처럼 쪼글쪼글한 갯벌. 거무스레하고 짭조름한 멸치 젓국 같은 갯물이 질퍽하다. 뒤쪽 멀리 보이는 게 짱뚱어다리. 신안 증도=서영수 전문기자
증도에 가면
살금살금 짱뚱어 개펄 있는
증도에 가면
바다와 바람이 시를 읊는 병풍에 들러라
증도에 가면
증도에 가면
소금이야기를 간직한 대초에 들러라
증도에 가면
증도에 가면
홀로 고독하게 잠겨라
홀로, 고독하게
- 정훈교의 ‘증도에 가면’에서
증도엔 2000명 가까운 주민이 살고 있다. 이들 중 90% 이상이 기독교인이다. 절이나 성당은 하나도 없다. 오직 교회만 있을 뿐이다. 어쩌면 주민 모두가 담배를 피우지 않는 ‘금연 섬’이 될 수 있었던 것도 기독교의 힘이 크다고 할 것이다.
증도는 기독교 성지이다. 6·25때 순교한 여전도사 문준경(1891∼1950)의 발자취가 남아있다. 문 전도사는 신안 섬 일대를 돌며 수많은 기도소를 설치하고 기독교를 전파했다. 신안군의 기독교 신자수가 전국 평균보다 많은 것도 그 덕분이다. 증도엔 요즘도 전국에서 기독교 순례자들의 발걸음이 끊이지 않는다.
노둣돌은 ‘옛날 말에 오르거나 내릴 때에 발돋움하기 위해 놓은 돌’이다. 그런 노둣돌을 썰물 때 드러나는 갯벌 위에 쌓아 건너 다녔던 길이 바로 노두길이다. 증도엔 갯벌의 노두길이 많다. 물이 빠졌을 때 섬과 섬을 잇는 길이다. 병풍도와 대기점도를 잇는 노두길은 무려 18km나 된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길다.
태평염전 자연체험장에서 게와 골뱅이를 줍는 일가족.
‘밤의 입천장에 박힌 잔 이빨들, 뾰족하다 저 아귀에 물리면 모든 죄가 아름답겠다 독사의 혓바닥처럼 날름거리는, 별의 갈퀴 하얀 독으로 스미는 죄가 나를 씻어주겠다’
- 신용목의 ‘별’
우전해수욕장 끝자락 짱뚱어다리(472m) 밑에는 짱뚱어가 우글거린다. 눈이 툭 튀어나온 철목어(凸目魚). 머리는 크고 그 아래는 납작하다. 물이 빠지면 구멍에서 나와 갯벌 위를 살살 미끄러지듯 다니며 먹이를 찾는다. 물수제비뜨는 것처럼 물 위를 폴짝폴짝 잘도 뛰어다닌다. 우스꽝스럽다.
짱뚱어다리 중간지점은 볼록하다. 붉은 해가 바다로 잠길 때 잠시 오버랩 되는 곳이다. 지는 해가 잠시 그곳에 걸려 쉬다 간다. 노을빛이 화사하다. 숨이 막힌다. 꿀컥 침을 삼킨다. 그 순간 해가 “미끄덩!” 바닷물 속으로 잠수해버린다.
‘나무늘보처럼 천천히 먹겠다/나무늘보처럼 천천히 눈뜨고/눈 감겠다/나무늘보처럼 천천히 사랑하고 사랑을 버리겠다/나무늘보처럼 세월을/둥글둥글 말아가겠다/나무늘보처럼/나무 위에서 풍찬노숙의 생을 보내겠다’
- 우대식의 ‘나무늘보처럼’에서
▼국내 최대 태평염전에 펼쳐진 함초밭은 ‘천연정수장’▼
바닷물의 불순물을 걸러주는 함초(퉁퉁마디) 밭. 붉은 것은 잦은 비와 뿔나방 곤충의 공격으로 말라 죽은 것이다.
천연소금은 1년 내내 생산하는 게 아니다. 햇살이 약한 겨울엔 개점휴업이다. 소금농사는 보통 4월 15일부터 9월 30일까지 짓는다. 비가 잦은 올해는 최근까지 50여 일 동안이나 손을 놓고 있다. 게다가 일부 언론의 ‘함초를 죽이기 위해 소금밭에 농약을 친다’는 보도로 판매까지 줄었다. 조재우 태평염전 상무는 ‘태평염전은 2009년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된 곳인데 어떻게 농약을 치느냐’며 펄쩍 뛴다. 더구나 ‘함초(바닷물 먹고 자라는 퉁퉁마디 풀)는 바닷물 정수 10개 과정 중 첫 번째로 거치는 곳인데 살리면 살렸지 왜 죽이느냐’며 어이없다는 표정이다. 바닷물이 함초가 자라는 밭을 지나며 불순물이 사라진다는 것. 퉁퉁마디가 바닷물을 정화해 준다는 것이다.
“요즘 함초는 당뇨와 소화 위장에 좋다고 알려져 소금보다 더 비싸다. 함초 1kg에 2000원을 넘지만 소금 1kg은 300원에 불과하다. 소금보다 함초농사가 훨씬 많이 남는다. 왜 제초제를 뿌려 죽이겠는가. 요즘 함초가 죽는 것은 비가 많이 와서 염도가 낮아 그런 것이다. 게다가 뿔나방이라는 곤충이 이곳에 알을 낳는 바람에 더욱 그렇다. 우리도 함초를 살리기 위해 갖은 노력을 다하고 있다.”
소금은 ‘소(牛)’나 ‘금’처럼 귀한 것이다. 서양음식 샐러드(Salade)나 봉급을 뜻하는 영어 샐러리(Salary)도 소금에서 유래됐다. 모차르트가 태어난 오스트리아의 잘츠부르크(Salzburg)나 미국 서부도시 솔트레이크시티(Salt Lake city)도 소금과 관련이 깊다. 천연소금은 햇볕과 바람이 빚은 보석인 것이다.
‘소금이/바다의 상처라는 걸/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소금이/바다의 아픔이라는 걸/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세상의 모든 식탁 위에서/흰눈처럼/소금이 떨어져 내릴 때//그것이 바다의 눈물이라는 걸/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그 눈물이 있어/이 세상 모든 것이/맛을 낸다는 것을’
- 류시화 ‘소금’
▼증도의 파수꾼 유영업씨 “사람-바다-햇볕-갯벌이 더불어 살아야죠”▼
그렇다. 증도갯벌이 있었기 때문에 중국 보물선이 썩지 않고 그대로 보전될 수 있었다. 1976년 증도 앞바다에서 발굴된 700여 년 전 중국 무역선엔 도자기 2만661점, 동전 2만8018 kg, 금속제품 729점, 석제품 43점 등이 실려 있었다.
유 씨는 ‘증도의 숨은 해결사’이기도 하다. 주민들을 설득해 ‘담배 없는 섬’을 만들었고, 밤에 전등 끄기 운동을 펼치며 ‘별 헤는 섬’을 이끌고 있다. 관광객 대상의 마을 공동식당이나 주민여행사 길벗도 그의 작품이다. 주민여행사 길벗은 서울 등 대도시관광회사와 연계해 마을 민박이나 자전거여행, 걷기여행 등을 직접 안내하고 있다. 유 씨는 주민공동사업이 궤도에 오르면 미련 없이 손을 뗀다.
“증도는 주민, 바람, 햇볕, 바다, 갯벌의 모든 생명이 한데 어우러져 살아가는 곳입니다. 모두가 주인입니다. 저는 그중 아주 미미한 존재에 불과할 뿐입니다.”
김화성 전문기자 mars@donga.com
[교통] 기차=KTX 서울 용산역→광주역(3시간 10분 소요)→(광주에서 지도행 고속버스 2시간 10분 소요)→지도→(지도에서 증도행 버스 15분 소요)→증도, KTX 서울 용산역→목포역(3시간 30분 소요)→(목포에서 지도행 고속버스 1시간 10분 소요)→지도 →(지도에서 증도행 버스 15분 소요)
고속버스=서울강남터미널→지도(4시간 소요)→(지도에서 증도행 버스 15분 소요)→증도
승용차=서울→호남고속도로→정읍나들목→서해안고속도로 선운산나들목→함평갈림목→무안고속도로 북무안나들목→현경→해제(수암교차로)→지도읍→증도, 서울→서해안고속도로→함평갈림목→무인고속도로 북무안나들목→한경→해제(수암교차로)→지도읍→증도
[먹을거리] ▽오산 슬로푸드점(010-2399-7717), 민어 짱뚱어 꽃게, 마을주민들의 공동운영식당▽짱뚱어다리 부근의 미자네짱뚱어튀김(010-4612-5424) ▽화도 반올림식당(011-633-0673), 해물요리 ▽증서 갯마을 식당(010-5505-7528)
[자전거여행] 최민수(010-7653-7121)
[천일염 체험] 소금박물관(061-275-0829)
[갯벌 생태체험] 신안갯벌센터(061-275-8400)
[걷기 체험] 주민여행사 길벗(061-261-6200)
[민박] www.j-minbak.com
■ 별장형 리조트 ‘엘도라도’ 모든 객실서 바다 조망
리조트 엘도라도는 30동에 185객실. 저층 별장형의 각 건물 모습이 모두 다르다. 어느 동, 어느 방에서건 통유리를 통해 바다가 보이는 게 특징. 붉게 물든 노을과 붉은 해가 홍시처럼 쏙 바다에 잠기는 모습도 방에 앉아서 볼 수 있다. 해수온천사우나, 야외노천탕, 전통불한증막 등도 갖췄다. www.eldoradoresort.co.kr 061-260-3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