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교육비 감소 이유를 두고 해석이 분분하다. 글로벌 경제위기로 집집마다 살림 형편이 어려워진 탓도 크다. 정부는 사교육비 억제 정책이 서서히 효과를 거두고 있다고 분석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사교육비가 처음 줄어든 2010년을 ‘사교육비 절감 원년(元年)’이라고 자화자찬했다. 이명박 정부는 ‘사교육비 절반’ 공약을 내걸었다. 지금 생각해 보면 처음부터 실현 불가능한 공약이었다. 현 정부는 사교육비 억제를 위해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왔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니다.
▷정부는 고교 입시에서 사교육비 수요가 많이 발생한다고 보고 집중적인 수술을 했다. 특목고는 노무현 정부 때보다 더 혹독한 시련을 겪었다. 특목고의 학생 선발권을 거의 무력화하는 각종 입시 규제가 가해졌다. 자율형사립고의 입시방식은 추첨으로 결정했다. 대학입시에 대해서도 무모할 정도로 입학사정관 전형 확대를 요구했다. 수능시험에는 EBS 강의에 나온 문제를 70% 이상 연계해 출제했다. 모두 사교육비 경감에 도움이 된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학교 내에서 저렴한 가격에 보충수업을 제공하는 방과후학교도 크게 확대했다.
홍찬식 수석논설위원 chansik@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