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시절 추억 머금은 너, 북미가 고향이라고?
○ 여름철에도 꽃피워
그렇지만 코스모스는 사실 토종식물은 아니다. 원래 멕시코 등 북아메리카가 고향인 식물로 꽃이름도 학명인 ‘Cosmos bipinnatus’에서 유래됐다. 우리 정서에 깊숙이 들어와 있는 꽃식물이지만 아직 우리네 감정이 들어간, 순우리말 꽃 이름이 없다는 게 아쉽다.
코스모스는 우리에게 가을꽃으로 각인돼 있지만, 여름부터 초가을까지 꽃을 피운다. 여름철에 코스모스가 피었다고 이상하게 생각할 필요는 없다는 말이다. 코스모스의 친척으로는 여름에 오렌지색 꽃이 피는 노랑코스모스(Cosmos sulphureus)가 있다.
코스모스처럼 씨앗이 땅에 저절로 떨어져 매년 볼 수 있는 한해살이풀꽃으로는 채송화, 봉선화, 해바라기, 맨드라미, 접시꽃, 과꽃이 있다. 이들은 모두 우리 할머니 시절부터 앞마당이나 문 밖 담벼락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친숙한 꽃이다. 그렇지만 이 꽃들도 코스모스처럼 원래부터 우리나라에서 자라던 식물은 아니다. 채송화는 남아메리카, 봉선화는 인도와 미얀마, 해바라기는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이고, 맨드라미와 접시꽃은 자생지가 알려지지 않은 채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과꽃만 우리나라 북부지방과 몽골, 중국이 고향이다.
과꽃 이외의 꽃들은 원산지가 열대나 아열대 지역이다. 따라서 원산지 기후와 비슷한 우리나라의 5월부터 10월까지가 재배 기간이다. 가로변에 흔히 심는 화려한 팬지나 페튜니아와 같은 교잡종과는 달리 지난해의 씨앗을 심어서 길러도 퇴화되지 않고, 화려하지는 않지만 수수한 꽃을 계속 피워준다.
○ 거름 너무 주면 웃자라 쓰러져
코스모스의 경우 최근에는 키가 아담하거나, 화려한 꽃색과 넓은 꽃잎을 가진 개량된 교잡종도 유통되고 있다. 그러나 큰 인기는 끌고 있지 못한데, 그 이유는 코스모스가 우리의 마음속에 ‘수수하지만 언제나 거기 있어 푸근한 고향의 꽃’으로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리라.
서정남 농학 박사(농림수산식품부 국립종자원) suhjn@seed.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