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수 중앙대 경영경제대 교수
반면에 생산되는 전기가 전체 발전량의 0.3%에 불과한 현실은 상식적으로 생각해 봐도 아이러니라고 할 수밖에 없다. 이번 정전으로 인해 우리는 생산 원가에도 못 미치는 전기 요금으로 인한 소비자의 과다한 전기 사용, 한전 등 전력그룹사의 부채 증가, 산업화에 따른 발전소 건설투자 부담 가중 등의 문제점을 깨닫게 됐다. 이번 일을 계기로 우리의 지혜를 모아 다시는 이와 같은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최근 정부는 전기의 효율성 증대와 살아있는 산업발전의 역사물을 살리는 두 마리 토끼를 잡고자 당인리발전소를 리뉴얼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일제강점기와 근대 산업화를 거치며 우리나라 경제 발전의 가장 큰 견인차였던 당인리발전소. 우리나라 화력발전의 효시인 당인리발전소는 지난 80년의 세월을 거치는 동안 지금 있는 자리에 1970년대 초 건립된 4, 5호기만 남아 있다. 당인리발전소는 지금도 수도 서울의 전력 공급원이자 주파수 안정, 지역주민에 대한 난방열 공급 등 발전설비로서의 임무를 충실하게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지역주민들의 이전 요구에 현 정부도 발전소를 이전하고 문화발전소를 만들어 지역주민들을 위한 문화공간으로 변모시키기로 공약했다.
지난해 12월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설을 두고 주민 반대로 난항을 겪어오던 울산 북구는 울산지역 시민사회단체와 종교계 대표 등 45명으로 구성된 배심원단의 중재로 최종 합의에 성공해 큰 관심을 끌었다. 무엇보다 법적 구속력이 없는 배심원단의 결정에 대해 주민과 구 측이 합의정신을 존중해 갈등을 매듭지었다는 점에서 님비 현상과 관련한 성공적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당인리발전소 역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주민 간의 원활한 대화를 이루어냄과 동시에 지역주민들에게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고 객관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는 중재인단 등을 구성하여 이해당사자 간 아름다운 합의를 통한 안정적인 전력공급망 확충의 성과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제 현명한 판단과 결정으로 서로가 윈-윈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심각하게 고민해 볼 시간이다.
김진수 중앙대 경영경제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