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아하! 경제뉴스]유상증자란 무엇이며 주가엔 어떤 영향 줄까요

입력 | 2011-10-31 03:00:00

회사자본 늘리려 주식 발행… 주가엔 단기악재




《최근 대형 증권사들이 잇달아 유상증자에 나섰다는 기사를 읽었습니다. 유상증자란 무엇이며 주가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 것인가요? 또 증권사들이 이렇게 유상증자를 결정한 배경은 무엇인지요.》

네, 최근 대형 증권사들의 유상증자 결정 소식이 연이어 전해지고 있습니다. 대우증권이 9월 7일 제일 먼저 1조4000억 원의 메가톤급 자본 확충안을 내놓으며 유상증자 이슈에 불을 지폈습니다. 이후 우리투자증권과 삼성증권도 몸집 불리기에 가세했습니다. 이 빅3에 이어 현대증권과 한국투자증권도 유상증자안을 발표했지요.

‘유상증자(有償增資)’를 알려면 증자(增資)란 말을 먼저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증자란 기업이 회사의 자본금을 늘리는 것을 말합니다. 자본금을 늘리는 방식이 크게 유상증자와 무상증자로 나뉘는 것이지요. 무상증자는 쉽게 말해 새로 발행하는 주식을 주주에게 공짜로 나눠주는 것입니다. 주주에게 공짜로 주식을 나눠주는데 어떻게 자본금이 커질까 싶지만 원리는 간단합니다. 기업의 자기자본은 자본금과 잉여금으로 나뉘는데 잉여금을 자본금으로 옮기게 되면 전체 자기자본은 같더라도 자본금은 늘어나지요. 그 늘어난 자본금만큼의 주식을 발행해 주주에게 나눠주는 것이 바로 무상증자입니다. 주주에게 보유 주식수를 늘리는 혜택을 줌으로써 증시에서 인기를 높이고 주가가 올라가는 효과를 누릴 수 있지요. 기업 재무구조나 자금사정이 안정적이어야만 무상증가가 가능하므로 ‘재무가 탄탄한 회사’라는 이미지도 얻을 수 있고요.

반면 유상증자는 기업이 새로 주식을 발행해 기존 주주나 새로운 주주에게 돈을 받고 파는 방식입니다. 기업들로서는 매우 매력적인 자금 확보 수단이지요. 금융회사에서 빌려도 되고 채권을 발행해서 자금을 마련할 수도 있지만 그렇게 되면 원금을 갚아야 하고 이자도 내야 합니다. 하지만 유상증자에 성공하면 이자 걱정이나 원금 상환 부담 없이 사업 자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유상증자는 신주를 배정하는 방식에 따라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먼저 주주 우선공모 또는 주주배정 방식이 있습니다. 기존 주주에게만 새로 발행되는 주식을 살 권리를 주는 것입니다. 다음으로 일반공모 방식입니다. 불특정 다수의 일반 투자자를 대상으로 공모주 청약을 통해 새로 발행하는 주식을 파는 것이죠. 마지막으로 제3자 배정 방식이 있습니다. 주주는 아니지만 회사의 임원, 종업원, 거래처 등 회사와 특별한 관계에 있는 이들에게 신주인수권을 줘 주식을 사게 하는 방법입니다. 기업들은 이 셋 중 한 가지 방식을 고르거나 두 가지 이상을 섞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유상증자가 주가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일반적으로 유상증자는 단기적으로 기업 주가에 악영향을 줍니다. 증자 뒤 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돼 순이익이 늘어날 수 있지만 일단 기업가치가 떨어진다고 보니까요. 보통 주당순이익(EPS·기업이 일정 기간 올린 순이익을 발행 주식수로 나눈 값)이 클수록 투자가치가 있는 주식으로 봅니다. 증자를 하면 발행주식 수가 늘어나서 주당순이익이 낮아집니다. 증시상황도 영향을 미칩니다. 증시가 침체해 주식 수요가 적을 때는 주가가 더 떨어지기 쉽습니다. 물론 증시가 강세장이라면 유상증자가 호재가 될 수 있습니다. 증시가 상승국면이면 주식을 사려는 세력이 많아지니 증자로 주식 공급물량이 늘어도 주가 하락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이지요.

실제로 최근 증권사들의 유상증자 발표 뒤에 반응이 엇갈렸습니다. 첫 타자였던 대우증권의 깜짝 유상증자 발표는 큰 후폭풍을 불러왔습니다. 유상증자 규모가 크다 보니 주주가치 희석에 따른 부정적 평가가 잇따랐고 대우증권 주가는 일시적으로 떨어졌습니다. 하지만 한 달여가 흐른 뒤 우리투자증권, 삼성증권의 증자 발표에는 시장이 차분하게 대응했지요.

유상증자에 앞서 증권사들도 주가변동 가능성 때문에 부담을 느꼈을 겁니다. 그런데도 증권사들이 유상증자에 나선 것은 대형 투자은행(IB) 업무를 하기 위해서입니다. 대형 IB 업무를 하려면 자기자본 3조 원의 요건을 충족해야 했고 이를 위해 유상증자를 선택한 것이죠. 장기적으로 이 증권사들의 주가 향방은 결국 향후 IB로 잘 성장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프라임브로커 업무 등을 제공하게 된 대형 증권사들이 자본력을 바탕으로 투자은행으로 얼마나 빨리 자리 잡을 수 있는지가 관건인 셈입니다.

장윤정 기자 yunju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