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발 직전 현장 빠져나온 소방대장그의 무의식적 결단은 어디서 올까
인간은 모든 정보를 수집한 뒤 이를 바탕으로 합리적인 결정을 내릴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전혀 다른 선택을 한다는 것이 그가 제시한 행동경제학 이론의 요지다. 떨어지는 주식을 보면 파는 것이 합리적인데 오히려 더 사들여 물타기를 하는 주식투자자의 행동이 대표적인 예다. 그가 ‘생각, 빠르고 느림(Thinking, Fast and slow)’이라는 제목의 신간을 내놓았다. 그동안의 연구 결과를 집대성하면서 흥미진진한 사례를 들어 인간의 사고 과정을 짚어간다.
그는 이 책에서 인간의 사고 프로세스는 두 개의 다른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소개한다. 큰 노력을 들이지 않고 무의식적 직관에 의존하는 빠른 사고(시스템1)와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 근거와 자료를 찾은 뒤 결론을 이끌어내는 연역적 느린 사고(시스템2)가 있다는 것. 대부분의 사람은 느린 사고에 많은 시간을 투입한다고 그는 지적했다.
비이성적인 빠른 사고가 많은 실수와 잘못된 결정을 가져온다고 주장했던 그에게 이런 현상은 하나의 딜레마였다. 카너먼 교수는 그 이유를 알기 위해 이들 전문가와 오랜 시간 토론을 가졌다. 전문가들은 “정기적으로 충분히 예측할 수 있는 상황을 오랫동안 겪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따라서 그는 전문가들이 ‘무의식적인 패턴 인식’을 끊임없이 연마해야만 빠르면서도 바른 결정을 내릴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
하지만 이런 전문가의 빠르면서도 옳은 결정이 적용되지 않는 분야가 있다고 그는 지적했다. 정부 최고 결정권자의 결정은 민주적인 절차와 시장 경제가 얽혀 있다보니 매우 복잡하고 돌발적인 상황이 많아 ‘빠른 사고’가 잘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 그럼에도 많은 정책 결정권자가 정책 예측 능력을 과도하게 자신하는 바람에 잘못된 결정을 내리게 된다고 그는 설명했다.
카너먼 교수는 과도한 자신감을 피하기 위한 방법으로 심리학자인 게리 클라인이 발전시킨 훈련방법을 추천했다. 최종 결정을 내리기 전에 이것이 1년 후에 최악의 결정이 될 것으로 가정하고 왜, 그리고 어디서 이 결정이 잘못되었는지를 미리 적어보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는 조언이다.
뉴욕=박현진 특파원 witness@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