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직 여성 Y 씨는 고교 1학년 아이가 중간고사 기말고사를 치르는 동안 하루 3시간밖에 눈을 붙이지 못한다. 요점 정리를 해주고 인터넷에서 예상 문제를 뽑아 같이 풀고 오답 노트도 거들어준다. 평소 수행평가용 과제물도 엄마 몫이다. Y 씨의 말이다. “요즘 대입 전형은 경우의 수가 3000가지가 넘는다는데 직장 다니면서 그 복잡한 대입 정보를 다 챙길 수 있나요? 내신이라도 잘 받으려면 제가 몸으로 때워야죠.” 외벌이 가정의 엄마는 자녀 교육에서 정보전을 치른다지만 맞벌이 엄마는 육탄전으로 맞서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6월 현재 맞벌이 가구(507만 가구)는 외벌이 가구(491만 가구)보다 많다. 전체 결혼 가구 중 맞벌이는 43.6%, 외벌이는 42.3%다. 2009년의 맞벌이 비중은 40.1%였다. 가족 수가 많은 가구일수록 맞벌이 비율이 높고, 교육비가 많이 드는 40대(52.1%)와 50대(49.7%)의 맞벌이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다. 경제활동 인구가 증가한 것은 바람직하지만 먹고살기가 그만큼 팍팍해졌다는 얘기도 된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15∼54세 여성층에서 가구주 이외의 취업자가 크게 늘었다’는 한국개발연구원의 보고도 같은 맥락이다.
이형삼 논설위원 hans@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