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의 새해인 동짓날에 먹는 신년음식
지극히 미신적인 믿음인데 액면 그대로 받아들여도 몇 가지 의문이 생긴다. 왜 하필 동짓날 팥죽을 먹는지, 또 귀신은 왜 팥의 붉은색을 싫어하는지 등등. 아무리 옛날 사람들이 지어낸 이야기라고 해도 터무니없게 들린다.
사실 동짓날 팥죽을 먹는 것은 우리만의 풍속은 아니다. 중국과 일본에도 동지 팥죽이 있다. 한중일 삼국의 고문헌은 모두 동지 팥죽의 기원을 6세기 초, 중국 양(梁)나라 때 종름이 쓴 ‘형초세시기(荊楚歲時記)’에서 찾는다.
공공씨는 고대 중국 신화에서 강을 다스리는 신이다. 황허 강이 범람하는 것도 공공씨가 심술을 부리기 때문이다. 그 아들이 죽어서 역귀가 됐는데 역귀란 그냥 귀신이 아니라 전염병을 퍼뜨리는 귀신이다. 그리고 역귀가 무서워한 것도 팥의 붉은색이 아니라 팥 그 자체다. 아마 팥의 영양분을 무서워했을 것이다.
현대식으로 풀이하자면 강물이 범람해 수인성 전염병이 나돌았는데 뜨거운 팥죽을 먹고 예방을 했거나 치료했던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귀신을 물리치려고 팥죽을 먹는다는 풀이는 형초세시기에 나오는 주술적인 묘사만 강조한 것이다.
‘조선왕조실록’에도 영조 임금이 ‘귀신을 쫓는다며 문에다 팥죽을 뿌리는 공공씨의 이야기는 정도에 어긋나는 것이니 그만두라고 했음에도 아직도 계속되고 있으니 잘못된 풍속을 바로잡으라’는 기록이 있다.
그래도 동지 팥죽의 유래에 명확하지 않은 부분이 아직 남아 있다. 왜 하필 동짓날에 그것도 팥죽을 먹어야 했는지에 대한 의문이다. 여기에는 여러 가지 풀이가 있지만 동지 팥죽을 설날 먹는 떡국처럼 새해에 먹는 음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는 해석이 유력하다.
사마천도 ‘사기(史記)’에 동지는 태양이 되돌아와 봄이 시작되는 날이라고 풀이했으니 곧 새해의 시작이다. 다시 말해 양기가 되살아나는 날이다. 이날 먹는 음식이 팥죽이었으니 ‘영조실록’에도 ‘동짓날 팥죽은 양기가 되살아나는 것을 기원하는 뜻’이라고 풀이했다.
뒤집어 말해 팥죽은 고대의 새해인 동짓날에 먹는 신년 음식으로 새해의 공통소망인 병에 걸리지 않고 건강하게, 오래 살게 해달라는 소원이 담겨 있다. 동지 팥죽을 먹고 나쁜 귀신을 쫓아 액땜을 한다는 의미 역시 새해에는 전염병에 걸리지 않고 건강하게 살게 해 달라는 기원으로 해석한다.
<음식문화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