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동물과 공감하도록 신경 진화
《 유전적으로 거리가 먼 개와 고양이 등을 반려동물로 키우면서 ‘내 아이’ ‘가족’이라고 부르는 사람들을 쉽게 볼 수 있게 됐다. 인간은 왜 유전적으로 거리가 먼 이들에게서 유대감을 느끼고 기쁨을 얻는가. (ID: hera****) 》
20년 전쯤이라면 이는 분명 유난 떠는 일이었다. 밥 굶는 사람도 흔한데 웬 사치냐는 지탄을 받기도 했다. 하지만 시대가 변하고 있다. 호칭부터 달라졌다. 장난감 같다는 뜻의 ‘애완동물’보다는 서로 돕고 산다는 뜻의 ‘반려동물’이 표준어로 굳어지고 있다. 국내에서 약 500만 가구가 반려동물을 기르고 있고, 관련 산업은 연간 1조 원 규모로 성장했다. 반려동물은 또 하나의 가족이다. 왜 이런 변화가 생긴 것일까.
동물 권리 운동가들이 동물의 지위에 대한 최근의 인식 변화에 큰 역할을 했다. 그들은 동물의 권리가 인간의 것과 똑같을 순 없더라도 동물 개개의 삶이 무시돼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다. 그래서 그들은 동물의 ‘고통’을 줄이는 일에 큰 관심을 기울여왔다. 가령 신제품 개발을 이유로 토끼의 눈에 마스카라를 수천 번 바르는 회사들에 대해 불매운동을 벌인다든지, 열악하고 잔인한 사육과 도축 현장을 고발해 육식 문화에 대한 성찰을 촉구한다.
게다가 이타성에 대한 진화론적 연구는 남을 돕는 행동이 혈연을 넘어 비혈연 집단으로까지 어떻게 확대될 수 있는가를 보여줌으로써, 우리의 도덕본능이 어떻게 동물의 세계로까지 뻗어나갈 수 있는지 이해하게 해준다. 간단히 말하면 이렇다. 다른 사람을 돕는 행위가 장기적으로는 본인에게도 이득으로 돌아오기 때문에 그런 행동이 선택될 수 있고, 자연은 그런 사람에게 ‘기쁨’이라는 정서적 보상을 주었다. 그런데 이렇게 진화한 보상 메커니즘이 동물들을 대할 때에도 작동하기 때문에 그들의 권리까지 논의하도록 우리를 이끈다는 것이다.
장대익 서울대 자유전공학부 (진화학) 교수
장대익 서울대 자유전공학부 (진화학) 교수
질문은 e메일(jameshuh@donga.com)이나 우편(110-715 서울 종로구 세종로 139 동아일보 문화부 ‘지성이 답한다’ 담당자 앞)으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