無君子면 莫治野人이요 無野人이면 莫養君子니라
壤地는 영토를 말한다. (변,편)小는 좁고 작음이다. ‘將爲君子焉이며 將爲野人焉이니라’에서 ‘將∼, 將∼’은 ‘일부는 또한 ∼가 되고, 일부는 또한 ∼가 된다’는 뜻을 나타내거나 ‘또한 한편으로 ∼가 있고, 또한 한편으로 ∼가 있다’는 뜻을 나타낸다. 爲에 대해서, 주자(주희)는 ‘∼가 되다’로 풀이했다. 단, 趙岐(조기)는 有와 같다고 보았다. 君子는 관직에 있는 사람을 가리키고 野人은 농사에 종사하는 사람을 가리킨다. ‘無君子면 莫治野人이라’는 ‘군자가 없으면 야인을 다스릴 사람이 없다’이니, 즉 ‘군자가 있어야 야인을 다스릴 수 있다’는 뜻이다. ‘無野人이면 莫養君子니라’는 ‘야인이 있어야 군자를 봉양할 수가 있다’는 뜻이다.
맹자는 한 국가의 구성원을 관료와 농민으로 구분해서 각각 자신의 직분에 충실해야 한다고 보았다. 근대 이후의 국가관이나 계층 관념과는 매우 다르다. 다만, 맹자가 국가의 구성을 일정한 직분의 집합으로 보고 각 구성원이 저마다의 직분에 충실해야 한다고 본 점은 참고로 할 필요가 있다. ‘주역’ 未濟卦(미제괘)의 卦辭(괘사)를 보면 ‘불이 물 위에 있는 형상이 未濟이다. 군자는 이것을 본받아 삼가 사물을 변별하여 저마다 제자리에 있도록 한다’라고 했다. 정치사회 및 경제의 갖가지 조직들은 疏通(소통)만이 아니라 居方(거방·저마다 자신의 자리에 위치함)도 중시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