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가을 태국으로 휴가를 간 손 간호사는 우연히 산호섬에서 조류에 휩쓸렸다가 구조된 한국 여성을 목격했다. 가까스로 구조됐지만 의식불명에 호흡도 불분명한 상황이라 구조대나 가족도 어찌할 바를 몰라 발만 동동 구르고 있었다고 한다.
손 간호사는 구경꾼들을 밀치고 뛰어들어 흉부압박과 인공호흡을 실시했다. 즉각적인 심폐소생술 덕분에 사고를 당한 여성은 곧 의식을 회복했다. 나중에 현지 병원 응급실로 이송된 환자를 진찰한 외국 의사는 “환자가 고령이기 때문에 생명이 위태로울 수 있었으나 초기 응급조치가 완벽했기 때문에 회복 상태가 매우 좋다”고 말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이런 심폐소생술에 대한 정보가 별로 알려져 있지 않다. 의료기관 종사자뿐 아니라 일반 시민도 심폐소생술 교육과 훈련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다시 한 번 깨달았으면 한다. 30분 정도의 짧은 교육으로 타인의 생명을 살릴 수 있는 기술은 배워볼 만하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국내 심정지 환자 발생 건수는 연간 인구 10만 명당 40명 정도. 매년 약 2만 명이 갑자기 쓰러진다. 이는 로또 당첨확률보다 3000배 이상 높을 정도로 빈번하게 발생한다.
소방방재청에 따르면 심정지 발생 빈도에 비해 즉각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는 빈도는 매우 낮다. 전체 심정지 환자 중 주변에서 이를 목격하는 경우가 40%에 이르지만 일반인이 그 자리에서 심폐소생술을 시도한 비율은 1%를 겨우 넘기는 수준이라고 한다.
이진우 연세대 의대 정형외과학교실 교수
이진우 연세대 의대 정형외과학교실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