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춘기 방황에 성적도 ‘흔들’… 과학자 꿈꾸며 최상위권 도약
《흔히 사춘기에 이른 청소년의 내면을 표현하는 단어 ‘질풍노도’. 큰 고민이나 걱정 없이 성장해온 소년·소녀들에게 돌연 밀어닥치는 삶에 대한 물음표들은 그들의 마음속에 거센 바람과 소용돌이를 일으킨다. 경기 원곡고 1학년 방지훈 군(17)에게도 그런 시기가 스치고 지나갔다. “중3 2학기에 접어들 무렵 ‘인생을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 ‘고등학교 진학은 어떻게 계획해야 할지’ 풀리지 않는 고민들로 잠을 설쳤어요. 수업에 집중을 못하니 전교 7등 수준이던 성적은 곧 중위권으로 곤두박질쳤죠.”》
경기 원곡고 1학년 방지훈 군. 그는 중3 후반에 찾아온 심리적 방황을 극복했다. 고1 첫 모의고사에서 전교생 659명 중 139등이었던 성적을 2학기 기말고사에서 전교 2등까지 끌어 올렸다.
“이러다가 큰일 나겠다는 생각이 밀려왔어요. 정신을 가다듬고 다시 일어서야겠단 생각이 들었죠.”
고1 1학기 중간고사가 한 달도 안 남은 시점. 간신히 교과서를 한 번씩 훑어보고 치른 시험 성적은 기대를 크게 밑돌았다. 국어는 전교 128등(77.8점), 사회와 과학도 각각 96등(89.7점)과 77등(89.4점). 157등(59.5점)인 수학 성적은 그야말로 충격이었다. 90점을 넘긴 건 영어(30등, 97점)뿐.
절박한 마음으로 준비한 고1 1학기 기말고사. 괄목할 결과였다. 수학은 무려 124등 오른 33등(92.4점), 사회는 83등이 오른 13등(96.9점)을 기록했다.
“‘지성이면 감천’이라는 말을 새삼 되뇌었어요. 수업시간에 친구들의 눈치가 보였지만 선생님에게 적극적으로 질문한 것이 도움이 됐어요.”
중학생 때의 자신감을 회복하면서 고1 여름방학을 맞은 방 군. 1학기 기말고사에서 254등(87.4점)에 머문 국어성적이 고민거리였던 방 군이 국어 정복을 위해 선택한 것은 반복 선행 학습이었다. 다음 학기에 배울 국어 교과서를 2회 이상 예습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수첩에 주 단위로 공부 분량을 적어 넣었다. 시험 때마다 포기하다시피 했던 서술형 문제를 공부하는 것도 중요한 과제였다. 서술형 문제를 위한 전용 노트에 교과서의 모든 서술형 문제를 옮겨 적었다. 참고서의 모범답안에 의지하기보다는 교과서 안에서 스스로 답을 도출하는 연습을 했다.
독서도 빼놓지 않았다. 평소 과학서적 코너를 자주 찾던 방 군이 우연히 집어든 두 권의 책 ‘이기적인 유전자’와 ‘협력하는 유전자’는 강력한 블랙홀처럼 그를 생명과학의 세계로 끌어당겼다. 유전학자 다윈의 서적만 해도 방학 동안 10권 넘게 읽었다.
즐겁게 공부하며 여름방학을 보낸 방 군. 고1 2학기에 접어들자 국어와 과학이 크게 향상했다. 2학기 중간고사에서 국어성적은 전교 16등(94.8점)에 오르더니 기말고사에서는 100점 만점으로 1등. 반 년 만에 무려 253등을 끌어올린 것. 1학기 기말고사에서 60등(80.6점)에 머물던 과학은 2학기 중간고사에서 잠시 주춤하더니 기말고사에선 57등이 올라 전교 6등(96.3점)까지 치솟았다. 영어와 수학은 각각 1등(100점)과 2등(93.4점), 사회는 8등(96.9점)을 기록해 전 과목 총점을 기준으로 전교 2등의 자리에 올랐다.
고2 진학을 앞두고 겨울방학을 맞아 다시 인근 지역도서관 과학코너에서 독서삼매경에 빠져 있는 방 군. 미래에 과학자가 돼 연구하고 싶은 분야가 생겼다는 그의 표정엔 다부진 각오와 기대가 엿보인다.
“아직 첨단과학기술로 극복하지 못하는 희귀병이 많다는 사실을 알게 됐어요. 에이즈(AIDS)처럼 인류를 괴롭히는 병을 치료할 약을 직접 개발하고 싶어요. 아프리카의 가난한 에이즈 환자에게도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신약을 개발해 인류에 기여하고 싶어요.”
이강훈 기자 ygh83@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