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지성이 답한다]Q: 왕따 피해학생은 왜 부모에게 말하지 않나

입력 | 2012-01-18 03:00:00

A:“창피당하면 어쩌나…” 수치심 때문




《 집단따돌림을 당하다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학생들은 왜 더 나은 해결책을 스스로 찾지 못하는가. 그들 주변에는 교사는 물론이고 부모도 있지 않은가. (rebi****) 》

국내 학교폭력의 실상에 대해서는 20년 이상 알려져 왔지만 최근 피해학생들의 자살이 잇따르면서 이제야 사회가 관심을 보이는 듯하다.

오랫동안 학생들의 정신건강을 돌보면서 학교폭력 피해학생을 적잖이 만났다. 이들은 왜 피해 사실을 부모에게 일찍 알리지 않을까. 가장 흔한 이유는 수치심 때문이다. 수치심은 물론 학교폭력에서만 나타나는 감정이 아니다. 언어 및 신체폭력, 가정폭력, 성폭력 등의 피해자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반응이다. 피해 사실을 부모에게 일찍 말하는 학생과 말하지 못하는 학생의 차이는 바로 이런 수치스러운 상황을 대하는 태도인 것이다.

사람에겐 세상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일차적 감정’이 있다. 기쁨과 슬픔, 분노, 호기심, 역겨움 등으로 이는 어머니의 배 속에서부터 가지는 것들이다. 일차적 감정들은 점차 이차적 감정으로 분화해 인간은 점차 복잡한 감정들을 가지게 된다. 정신분석학자 에리크 에릭손은 사람의 감정이 사회적 경험을 통하여 단계별로 분화·발달하며, 수치심은 2∼3세에 경험하는 생애 초기의 사회적 감정이라고 보았다.

수치심은 아이가 2세경 자신의 의지대로 행동하고 경험하는 과정에서 성취감을 겪지 못할 경우 나타나는 이차적 감정이다. 자율적 행동을 겪으면 자신감이 생기지만, 자율성의 성취에 실패한 경우 수치심과 불안에 휩싸인다. 지나친 수치심은 불안과 절망, 분노와 적개심을 야기하고 나아가 자책감을 초래한다. 아이를 돌볼 때 공감하고 격려하면 수치심이 줄고 자신감이 늘어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많은 아이는 어려서부터 학습에 내몰리고, 평가에 따라 꾸중 듣고 벌 받고, 남과 비교되면서 상처를 받는다. 부모로부터도 수치심을 느낄 수 있는 환경인 것이다.

누구든 폭력의 피해자가 되면 저항하고 공격하고 싶지만 상대가 집단일 때는 문제가 있다. 자신감과 힘이 발휘될 수 없는 것이다. 피해자가 특별한 약자일 때는 물론이거니와 어느 누구라도 집단폭력에 저항하긴 어렵다. 집단따돌림과 폭력에 함께 맞서야 할 주변 친구들도 무기력하니 피해학생은 절망적일 수밖에 없다.

피해학생 구제에 가장 중요한 것은 ‘내가 도움을 구하면 벗어날 수 있다’는 믿음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이런 믿음을 위해서는 평소에 학생과 주변 어른들 간에 ‘신뢰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많은 사례연구는 알려주고 있다. 심각한 상황에 대한 것이 아니더라도 부모나 교사가 학생과 진지하고 격의 없이 의사소통하면서 신뢰를 보여줘야 한다는 것이다.

송동호 연세대 교수·세브란스 병원 소아정신과 과장

20년 가까이 지속돼 온 학교폭력 상황에 대한 대책은 쉽게 수립하기 힘들 것이다. 그렇다 하더라도 피해가 발생했을 때 최우선으로, 절대 소홀히 하지 말아야 하는 조치가 있다. 바로 가해자를 피해자로부터 격리하는 것이다. 이 조치는 피해학생들에게 사회와 학교, 부모가 자신을 지켜준다는 신호를 발신하게 된다. 이 신호가 중요하다.

이 작은 신호에서 출발해 학생들은 수치심을 극복하고 폭력에 대처하게 될 것이다. 피해학생들에게 폭력 앞에 더 당당하라고 말하기 전에 우리가 그들의 수호자라는 믿음을 주어야 한다는 것이 정신분석학적 결론이다.

송동호 연세대 교수·세브란스 병원 소아정신과 과장

질문은 e메일(jameshuh@donga.com)이나 우편(110-715 서울 종로구 세종로 139 동아일보 문화부 ‘지성이 답한다’ 담당자 앞)으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