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2000년이후 가장 높아… “정년 연장 피할수 없는 문제”
1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생산가능인구(15∼64세) 가운데 최고령층인 55∼64세(1948∼1957년생) 인구의 경제활동참가율이 63.7%로 통계를 작성한 2000년 이후 가장 높았다. 이들의 경제활동참가율은 외환위기 이후인 2000년 59.5%를 기록한 뒤 59∼60%대에 머물다가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인 2007년 62.0%로 올랐고 지난해 63%대로 상승했다.
전체 생산가능인구의 경제활동참가율이 2000년 64.4%에서 지난해 66.2%로 1.8%포인트 상승한 점을 감안하면 퇴직 연령대의 경제활동참가율이 빠르게 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이 연령대가 전체 생산가능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00년 10.6%에서 지난해 15.0%로 4.4%포인트 증가했다. 노동시장에서 근로자의 평균연령도 2000년 36.2세에서 2010년에는 39.0세로 높아졌다.
퇴직 연령대의 경제활동참가율이 빠르게 늘고 있는 것은 노후 준비가 부족한 데다 청년 실업과 결혼연령 상승 등으로 자녀 부양 부담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퇴직 연령대의 상당수는 은퇴 후에 도·소매업, 음식업 등 자영업에 종사하거나 비정규직이나 한시적인 일자리를 얻고 있다.
이에 따라 정년을 연장해 경제활동에 참가하는 기간을 늘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황수경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일자리의 정년을 늘리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60세 이상 국민연금 수급 연령까지는 원래 직장에서 일할 수 있도록 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태원유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도 “내년부터 국민연금 수령 나이가 61세로 점차 늦춰지기 시작해 2033년까지 65세로 연기되는 만큼 정년 연장 문제가 피할 수 없는 문제가 된다”며 “올해부터 정년을 60세로 연장하는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황형준 기자 constant25@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