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뢰도 추락하는 기존 여론조사
전화로 특정 후보의 지지 여부를 묻는 전화조사는 1987년 제13대 대통령 선거에서 처음 시도됐다. 초기에는 전화조사의 신뢰도가 높았다. 1997년 대선 당시 투표 직후 갤럽이 발표한 후보별 예상 득표율은 김대중 후보 39.9%, 이회창 후보 38.9%였다. 실제 투표 결과도 김 후보 40.3%, 이 후보 38.7%로 오차가 거의 없었다.
방송사 출구조사는 전화조사보다는 정확한 것으로 나타나지만 △투표소로부터의 거리 제한(300m) △표본 투표소 선정의 대표성 문제 △출구 조사원의 낮은 전문성 등이 문제로 지적된다.
기존 여론조사 결과는 부정확성 때문에 이를 활용해 선거 공약을 만들거나 전략을 짜는 데 한계가 있다. 데이터 분석학의 권위자인 경희대 박주석 경영학과 교수는 “인터넷이라는 정보기술(IT)이 정치 문화를 한 단계 발전시키고 있다”며 “SNS 블로그 인터넷 커뮤니티 등 온라인에서 만들어지는 다양한 데이터를 과학적으로 분석해야 세대별 지역별 계층별로 유권자들에게 직접 다가가는 공약을 만들어낼 수 있다”고 말했다.
○ 기업에서 배워라
정치권이 빅 데이터를 분석해 유권자들의 마음을 얻으려면 기업의 사례를 벤치마킹하는 게 가장 빠르다. 이에 따라 정치권에서 기업 내 SNS 분야의 전문가를 초빙해 데이터 선거 전략을 배우고 싶다는 요청도 이어지고 있다. SNS로 고객만족(CS)을 극대화한 기업들의 사례를 본받아 SNS로 유권자들을 감동시키겠다는 것이다.
최근 정치인들을 상대로 SNS 활용법 강의를 한 KT 표현명 사장은 “고객의 트윗이 말단 직원부터 최고 의사결정자까지 실시간으로 공유되는 시스템을 갖춰야 고객감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정치도 마찬가지”라고 강조했다.
정진욱 기자 coolj@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