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용가 홍신자의 ‘인도 고행’
그녀는 이제 웃을 수 있다. 그래서 그녀가 만든 무용단의 이름도 ‘웃는돌’이다. 무용가 홍신자가 8일 경기 안성에 자리 잡은 ‘웃는돌’ 사무실 앞에서 “생명이 없어 보이는 돌에서도 나는 웃는 모습을 본다”며 활짝 웃었다. 안성=김미옥 기자 salt@donga.com
틀고 앉아 있는 이…. 물론 ‘내가 이런 곳에서 살 수 있을까’란 걱정 따윈 필요가 없었다.》
어차피 죽을 각오까지 하고 왔으니까. 그렇다 해도 상상만으로 머리에 그렸던 ‘그곳’과 실제 눈앞에 펼쳐진 ‘이곳’은 달랐다. 야생 그대로인 삶의 현장 속에서 만난 이해 못할 그들, 인도 사람들의 여유.
1976년의 어느 날, 인도의 ‘델리 공항’(인디라 간디 국제공항)에 도착해 공항 문을 나서는 순간 온몸에 전율이 일면서 이런 생각이 내 머리를 때렸다. ‘아, 인생은 환영일 뿐이구나.’
정상에 서다, 그리고 떠나다
하지만 정점에 섰을 무렵 마음속 깊이 ‘무언가’가 싹텄다. 환호와 갈채 속에 공연이 끝난 뒤 텅 빈 관객석을 보면서 느끼는 허탈함은 그 ‘무언가’를 더욱 키웠다. ‘나는 누구인가, 죽음이란 무엇인가.’ 주체하지 못할 만큼 수많은 의문이 내 안에서 꿈틀댔다. 그리고 직감했다. 이런 의문을 해결하기 위해선 고행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그 무렵 인도가 보였다. 생명을 건 고행을 위한, 또 나를 내려놓고 차분하게 나를 바라보기 위한 최적의 장소. 떠나기 전 어렴풋이 느낀 인도는 그런 곳이었다. 그러다 1975년 인도 문화부 초청으로 얼마 동안 그곳에서 순회공연을 하면서 결심을 굳혔다. 최소한 10년, 아니 답이 나오지 않는다면 평생을 머물 생각을 가지고 인도로 떠나기로.
쌓아온 모든 걸 버리고 미련 없이 떠날 수 있었던 건 사실 타고난 기질 때문이기도 했다. 한 곳에 머무르지 못하고, ‘이제 됐다’고 생각될 때쯤 어디론가 떠나려는 기질. 누군가는 역마살 때문이라고 했고, 누군가는 철이 없어서랬다. 하지만 나는 굳이 어떤 수식어를 붙이고 싶진 않다. 단지 떠남으로써 하나를 버릴진 몰라도 그 대신 새로운 하나를 만날 수 있다는 게 이유라면 이유일까.
평안을 찾다
당시 우연히 만난 한 현지 신문사 기자의 권유로 내 소변을 마시기도 했다. 그 기자는 30대 초반이었지만 백발에 가까울 만큼 머리가 샌 사람이었다. 그는 “인도에 오래 머물면 영양실조가 된다”면서 소변을 마신다고 했다. 그러면서 직접 자기가 소변을 받아 먹는 시범까지 보였다. 그걸 계기로 먹어 본 내 소변 맛은 찝찝했다. 특히 전날 야채가 아닌 다른 음식을 먹기라도 하면 그 맛은 더욱 불쾌해졌다. 그럼에도 반년 가까이 소변을 마셨다. 나는 인도 빈민들이 마시는 물을 마시기 힘들었다. 그들은 어릴 때부터 마셔 면역이 됐을지 몰라도 난 어김없이 배탈이 나 어쩔 수 없이 소변을 마시게 됐다.
그 무렵 나는 인도의 화장장(火葬場)을 자주 찾았다. 화장장은 대개 큰 강변에 있었다. 한쪽에선 시체를 태운 뒤 그 재를 강에 뿌렸다. 시체를 그대로 물 위에 흘려보내는 사람도 있었다. 그런데 다른 한쪽에선 강물로 목욕을 하고, 빨래를 하고, 또 밥까지 지어 먹는 게 아닌가. 시체 타는 연기와 음식을 지어 먹는 연기가 동시에 타오르는 풍경. 말 그대로 강변은 삶과 죽음이 교차하는 경계선이나 다름없었다.
그래서인지 강변을 찾는 인도 사람들의 표정에선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찾아볼 수 없었다. 하루에 한 끼도 제대로 챙겨 먹지 못할 만큼 궁핍할지언정 얼굴엔 뉴욕에 사는 부자들보다 더 넉넉한 여유가 흘러넘쳤다. 내가 화장장을 자주 찾은 이유도 그 때문이었다. 난 그곳에서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떨쳐낼 수 있었다.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이 공존하는 공간에서 비로소 마음의 평안을 얻었다.
다시 춤을 추고 싶다
또 다른 성자 마하라지로부턴 나 자신을 가식 없이 바라보는 방법을 배웠다. 가난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난 그는 뭄바이 시장 골목에 있는 자신의 담배 가게 2층 다락방에서 방문객들을 맞았다. 반년 넘는 기간 동안 나는 매일 아침 그를 찾았다. 덕분에 나도 인근 싸구려 다락방에서 지내느라 몸이 급격하게 쇠약해졌지만, 의식만큼은 그 반대였다. 내 의식은 오히려 어느 때보다 살찌고 건강해졌다.
나는 두 스승과의 만남 이후 비로소 질문에 대한 해답에 다가갈 수 있었다. 그 해답은 머리가 아닌 가슴으로 왔다. 나 자신을 똑바로 응시하면서 삶을 무겁게 만든 모든 허위와 가식을 버리게 됐다. 나에 대한 집착을 버리고 인생이 환영에 불과하단 사실을 깨달으니 죽음에 대한 공포도 자연스럽게 사라졌다. 무아(無我)의 세계 속에서 진정한 자유를 만났다.
1979년 여름, 나는 다시 뉴욕으로 돌아갔다. 스승을 잘 만난 덕분일까, 아니면 그런 가르침을 받아들일 준비가 이미 돼 있었기 때문일까. 최소 10년이란 애초 예상보다 훨씬 일찍 인도를 떠났다.
뉴욕에 도착했을 때 얼굴은 내 나이로는 믿기 힘들 만큼 많이 상한 채였다. 몸도 당분간 회복이 힘들 만큼 고장이 났다. 하지만 인도에 가기 전 부글부글 끓던 내 마음속 용광로는 평안을 되찾았다. 허무함과 두려움 대신 삶에 대한 의욕이 그 자리를 채웠다.
그리고 뉴욕으로 돌아간 첫날 밤, 나는 잠을 이룰 수 없었다. 춤이 미치도록 추고 싶었다.
안성=신진우 기자 niceshin@donga.com
■ 홍신자는…
1940년 충남 연기 출생. 1963년 숙명여대 영문과를 졸업한 뒤 1967년 27세의 나이로 뉴욕에서 춤에 입문했다. 1973년 무용 ‘제례(祭禮)’를 통해 “전위무용과 전통음악의 재회를 성공시켰다”는 평가를 받으며 단숨에 세계적인 무용가 반열에 올랐다. 삶과 죽음에 대한 깨달음을 얻기 위해 1976∼1979년 인도에 머물렀다. 1993년 영구 귀국한 뒤 무용단 ‘웃는돌’을 이끌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