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스트 닥터’보다 ‘베스트 팀’ 시스템 정착을
삼성서울병원 다학제 협력진료팀인 폐암팀이 한 환자에 대한 치료 방침을 결정하기 위해 회의를 하고 있다. 삼성서울병원 제공
국내 병원에서 다학제 협력진료를 제대로 하는 곳은 있을까. 왜 환자에게 좋은 제도가 정착되기 힘들까.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박근칠 교수(한국임상암학회 이사장)와 분당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 이종석 교수(한국임상암학회 기획위원장)에게 자세히 들어봤다.
▽이진한 기자=다학제 협력진료는 호칭부터 다양하죠.
▽이 기자=환자는 가만히 있어도 의사들이 움직이니까 꽤 좋겠네요.
▽이 교수=네. 다학제 진료의 핵심은 병의 진단, 치료 및 재활에 이르는 모든 과정에서 여러 분야의 전문가가 최선의 치료 방법을 찾아 적용한다는 점입니다. 특히 암 환자는 수술, 방사선, 항암약물 등 모든 치료 수단을 시의적절하게 이용해야 합니다. 지금은 각 분야가 전문화 및 세분되면서 빠르게 발전해 의사 혼자서 모든 분야를 꿰뚫고 있을 수는 없습니다. 즉, 암을 진료하는 의사가 수술을 하고 방사선 치료나 항암약물 치료를 담당하기는 이제 불가능합니다.
▽이 기자=이제는 베스트 닥터보다 베스트 팀을 찾아야겠네요.
▽이 교수=암 환자를 위한 다학제 진료에서는 △수술을 먼저 해야 할지 △수술 전에 방사선 치료나 항암약물 치료를 먼저 해야 할지 △항암약물을 주된 치료법으로 해야 할지를 결정합니다. 결국 치료의 질을 증가시켜 환자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다학제 협력진료를 이상적으로 하는 병원은 국내에 많지 않습니다.
▽이 교수=의사가 다른 진료과 의사의 의견을 쉽게 받아들이지 못하는 국내의 병원 문화도 원인입니다. 그러다 보니 암 환자가 처음 진료 받은 과가 어디냐에 따라 치료의 우선순위가 달라지는 경향도 있습니다.
▽박 교수=가령 유방의 멍울 때문에 유방암으로 판명됐다고 가정해 보죠. 일부 병원은 외과 의사에게 먼저 가면 수술하는 쪽으로 치료하지만, 내과로 가면 수술을 안 하는 쪽으로 가는 경향이 있습니다. 환자가 왔을 때 처음부터 여러 분야의 전문가가 정보를 공유하면서 토론하면 무엇이 최선의 치료법인지 잘 판단할 수 있습니다. 문제는 협진팀을 만들 때 누가 리더가 되느냐하는 것입니다. 국내에서는 대개 연장자나 목소리가 큰 사람이 주도합니다. 하지만 치료팀이 누구에게 끌려가는 식으로는 합리적 치료가 어렵습니다. 팀 리더는 소수의 의견도 귀담아 듣고, 최선의 치료법에 도움이 되도록 해야 됩니다. 선진국에서는 팀마다 공동진료 지침을 만들어 그 기준에 맞춰 움직입니다.
▽이 기자=심장동맥이 막히는 심근경색 환자의 경우 심장내과로 가면 막힌 혈관을 뚫는 스텐트 시술을 하는 경향이 많고 흉부외과로 가면 가슴을 여는 수술을 먼저 하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박근칠 교수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박 교수=같은 환자를 여러 명이 진료할 때 이 중 1명만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진료비를 청구할 수 있습니다. 나머지 의사는 추가로 청구할 수 없으니 이 문제도 해결해야 됩니다. 환자에게는 가장 좋은 시스템이지만 현실적으로 하기 힘든 이유가 있습니다.
▽이 기자=그렇지만 다학제 팀을 운영하는 병원이 있지요. 환자 입장에선 병원을 어떻게 선택해야 좋을까요.
이종석 교수 분당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
▽이 교수=모든 병원에서 다학제 진료가 제대로 되지는 않는 현실입니다. 기존 방식의 진료로는 환자가 다양한 정보를 얻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환자는 담당 의사에게 현재의 치료법이 최선인지, 다른 방법은 없는지를 물어야 합니다.
▽이 기자=다른 병원을 찾아가 또 다른 치료법을 확인하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인 것 같습니다. 병원이 팀제를 운영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으려면 정부가 3급 종합병원 기준을 정할 때 다학제 협력여부를 평가 기준에 넣어도 좋을 것 같습니다. 장시간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이진한 의사·기자 likeda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