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두차례 다짐에도 정치권 인사 계속 ‘투하’
동아일보가 16일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알리오) 등을 통해 추출한 주요 공기업 50곳의 감사 가운데 정치권 출신 인사는 30명으로 60%를 차지했다. 감사원(4명), 예비역 장성(3명), 기획재정부(1명) 등 공직자 출신 8명을 포함하면 전관예우성 낙하산 비중은 76%까지 올라간다.
내년 2월 말까지는 50곳 가운데 30곳의 감사가 임기 만료에 따라 교체될 예정이다. 정치권에서는 벌써부터 ‘5년차 막차’를 타려는 정치권 인사들에 대한 뒷말이 나오고 있다.
○ 공정사회를 다짐했지만
이처럼 ‘공정사회’가 제시된 이후에도 낙하산 인사는 계속됐다. 이 대통령이 지난해 6월 매우 단호한 ‘전관예우 근절’ 의지를 밝히기까지(2기) 32곳의 감사가 임명됐다. 이 중 낙하산 인사는 17명이었다. 18대 총선 때 부산 서구에 출마했던 조양환 한나라당 후보는 기술보증기금에 둥지를 틀었고, 불교계 고위층과 인연이 깊은 임명배 청와대 행정관은 다른 조직을 거쳐 사찰과 관련이 깊은 국립공원관리공단으로 옮겼다.
이 대통령이 지난해 6월 ‘전관예우 근절’ 의지를 밝힌 것은 부산저축은행 사태가 금융감독원 출신 낙하산 인사에서 비롯된 것이 확인된 뒤였다. 정부는 이때부터 전관예우를 제한하기 위해 공직자윤리법과 시행령을 개정했다. 하지만 공직자가 아닌 정치권 인사에겐 해당 사항이 없었고, 이후에도 ‘보은 인사’는 계속됐다. 정부는 당시 “공기업 경영진은 가급적 경영인 출신을 더 뽑을 방침”이라고 설명했지만 별다른 변화는 없었다.
지난해 6월 이후(3기)에 임명된 감사 9명 중 6명이 낙하산이었다. 노재동 은평구청장은 한국마사회로, 2002년 대선 당시 ‘국민통합21’ 부대변인을 지낸 박경훈 씨는 대한주택보증 감사가 됐다. 비(非)정치인이지만 이 대통령의 동지상고 후배인 현대C&C 부사장 출신의 백해도 씨는 한국동서발전 감사로 갔다.
○ 청와대 “감사직은 외부인사 수혈 필요성”
또 노무현 정부 시절에 공기업 경영인으로 기업인 금융인 변호사 교수 등 외부 전문가를 기용한 비율이 28%에 그쳤지만 지난해까지 이명박 정부는 38%에 이른다며 “분명히 개선됐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청와대 관계자는 “이왕 외부에서 온다면 현직 대통령의 국정 철학을 잘 이해하는 대통령 측근 혹은 선거 경험자가 적절하지 않으냐”고 말했다.
김승련 기자 srkim@donga.com
임성빈 인턴기자 성균관대 경제학과 3학년
김지영 인턴기자 고려대 영어교육과 4학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