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종배 건국대 전기공학과 교수
이런 시기에 제2차 핵안보정상회의가 3월 26일과 27일 서울에서 개최된다. 원자력 르네상스의 존폐 위기가 화두로 떠오르는 이때 우리나라에서 핵안보정상회의가 진행된다는 것은 세계 원자력산업 동향을 조망하고, 우리나라 원자력산업의 미래에 대해 심도 있게 고민할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핵안보회의를 부정하며 ‘핵 확산 방지 논의에 앞서 기존의 핵무기와 핵발전소부터 폐기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국가에너지기본계획 전면 재검토를 촉구하며 원자력발전을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하자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신재생에너지가 이산화탄소 배출 감축에 기여하고 에너지 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에 필수적인 국가에너지원이 되어줄 것은 자명하다. 하지만 아직까지 주도적인 에너지원으로 부각시키기에는 발전 기술력과 발전단가 대비 효용성이 낮다.
현재 우리나라 발전량에서 신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은 1% 정도다. 정부도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위해 다양한 정책과 제도를 시행하고 있지만 단기간에 원자력을 대체하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다. 신재생에너지는 에너지 공급원의 관점도 중요하지만 반도체나 자동차 조선 철강 못지않은 잠재력을 가진 산업으로 봐야 옳을 것이다.
최근 에너지경제연구원의 조사에 따르면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의 발전 비중을 기존 계획보다 2배 확대하고 원자력 비중을 낮출 경우 전기요금 인상률이 40%에 육박할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불가피하게 두 차례 시행된 요금 인상에도 반발이 거셌던 우리나라에서 40%의 전기요금 인상을 어떻게 받아들일지 의문이다. 물론 충분한 기술력을 확보한다면 신재생에너지도 미래에는 우리나라의 필수적인 에너지원으로 부각될 수 있다. 다만 현재의 기술력과 환경적 제약을 인정하고 당장 원전의 대체 에너지원으로 보기보다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봐야 한다. 원자력과 신재생에너지는 우리나라의 안정적인 에너지 수급을 위해 경쟁적 관계보다는 상호보완적인 관계로 보는 시각이 필요하다.
박종배 건국대 전기공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