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심층보도도, 폭넓은 정보도 ‘신문이 답’
환경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만큼 연구자로서 신문을 더욱 열심히 찾는다. 신문을 통해 접하는 심층기사와 정보, 특히 기후변화와 관련된 내용은 사회적 이슈와 환경 연구를 이어주는 징검다리 역할을 톡톡히 한다.
연구기관에서 일하면서 나는 국내 이슈와 국제 이슈의 연관성을 발견해 거기서 연구주제를 찾으려 한다. 신문이 다양한 분야와 연구활동을 연결해 주는 소통의 장이 되는 셈이다. 신문을 통해 여러 분야에 걸쳐 있는 환경 이슈를 접하고 환경정책의 흐름을 파악하는 것은 물론이고 시각을 넓힐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신문은 내가 전문가로서 성장하는 데 매우 적절한 매체다. 다양한 분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신문만 한 매체는 없다. 요즘은 포털 사이트의 온라인 뉴스, 모바일 등 다른 디지털 매체를 통해서도 정보를 접할 수 있는 폭이 넓고 다양해지긴 했다. 하지만 그만큼 여유가 없어진 것도 사실이다.
창의적인 연구는 여유에서 나온다. 구글에서는 ‘업무시간의 20%는 뭐든 하고 싶은 일을 하라’는 규칙이 있다고 한다. 여유와 창의적인 생각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다. 연구 성과는 단기간에 이뤄지지 않는다. 인내심과 차분한 데이터 수집능력, 정보를 분석할 수 있는 냉철한 판단력에서 나온다. 머릿속에서 짜내기만 해서는 결코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없다.
한반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기후변화에 발 빠르게 대응하고 합리적인 대안을 찾는 일은 기후변화를 다루는 연구자에게는 숙명이다. 특히 사회에 서비스한다는 생각, 원칙적이지만 융통성 있는 사고는 국책연구기관에서 일하는 연구자의 필수요소다.
이론적인 연구보다는 실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되는 연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신문은 기후변화가 더욱 심해지고 환경 문제가 복잡해질수록 사회현상에 대한 통찰력과 국제경쟁력을 갖추고자 하는 연구자의 가장 가까운 벗이 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