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1총선이 일주일여 앞으로 다가오면서 부동층이 확연히 줄고 있는 추세를 보인다. 한 달 전 30% 안팎이던 부동층이 3일 현재 10%대까지 줄어든 곳이 나오는 등 그동안 지지 후보를 결정하지 못한 유권자들이 차츰 마음을 결정하는 양상이다.
○ 사찰 논란, 수도권 부동층에 더 영향
여론조사 전문가들은 민간인 불법사찰 파문을 부동층 감소의 주요인 중 하나로 꼽고 있다. 배종찬 리서치앤리서치(R&R) 본부장은 “민간인 사찰 파문이라는 대형 이슈가 등장하면서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부동층이 어느 정당 후보자를 지지할지 의사결정을 빠르게 내리고 있다”고 말했다.
전·현 정권이 모두 사찰 논란에 휩싸였지만 ‘현재 권력’인 이명박 정부의 사찰이 상대적으로 더 부각된 형국이다. 일단 수도권 부동층이나 젊은층을 중심으로 야권에 유리한 흐름이 형성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예컨대 중앙일보(한국갤럽) 여론조사에서 민주당 김현미 후보의 지지율이 지난달 25일 34.4%에서 1일 43.3%로 오른 것도 사찰 논란의 영향이라는 것. 반면 문화일보(R&R) 1, 2일 조사에서 충북 청주 상당, 부산 사상 등은 2월 말보다 새누리당 후보 지지도가 오히려 올랐다.
원성훈 코리아리서치센터 이사는 “수도권이 인물보다 정치 성향에 더 좌우되기 때문에 민간인 사찰 논란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고 분석했다. 이재홍 R&R 연구팀장도 “수도권은 야권 성향의 젊은층을 중심으로 사찰 논란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고 했다.
반면 보수층이 민간인 사찰,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폐기 논란, 제주 해군기지 등으로 위기감을 느끼면서 먼저 결집해 부동층 감소를 주도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윤희웅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 조사분석실장은 “여야의 전통적 지지층이 결집하는 것은 맞지만 여권과 야권을 나눠 보면 여권은 단합했지만 야권은 무당층과 중도층을 지지층으로 확 끌어들이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부동층 축소, 수도권 당락에 더 영향
일반적으로 부동층은 야권 성향이 더 강하다는 게 정설이다. 실제로 여론조사 기관들은 지난해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 때 8∼9%의 야권 성향 표가 부동층에 숨어 있었다고 분석한다. 이번 총선의 경우 수도권에선 이런 추세가 이어지고 있지만 지방은 다를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선거구도 측면에선 수도권 부동층의 영향력이 더 클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다자구도가 많은 지방과 달리 수도권은 여야 일대일 구도가 많아 부동층이 한 후보에게 쏠릴 수 있기 때문이다. 이택수 리얼미터 대표는 “자신의 선거구가 접전 지역으로 분류되면 유권자는 자신의 표가 의미 없이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는 판단을 하게 된다”며 “초박빙 승부처가 많은 수도권에서 투표율이 올라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정치권의 한 인사는 “지방의 경우 막판으로 갈수록 당이 아닌 인물 경쟁력이 앞서는 쪽으로 부동층이 쏠린다. 세종시에서 민주당 이해찬 후보나 충남 홍성-예산에서 새누리당 홍문표 후보의 지지도가 높아지는 것도 인물에서 앞선다는 평가를 받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 ‘박근혜 효과’는 지방 부동층에 더 커
‘선거의 여왕’이라고 불리는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의 유세 효과로 보수층이 어느 정도 결집할지도 관심이다. 일단 수도권과 지방의 온도차가 크다.
유기준 부산시당위원장은 “박 위원장이 부산에 네 번 다녀간 이후 열세지역 2곳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안정적인 궤도에 올랐다”고 말했다. 인지도가 낮아 고전하던 새누리당 나성린 후보는 지난달 29일 부산일보 조사에서 37.7%를 기록해 1위로 올라서기도 했다. 박 위원장이 해운대-기장을, 남을을 방문한 후 하태경, 서용교 후보의 지지도도 크게 올랐다는 게 지역 평가다.
그러나 수도권에서는 효과가 눈에 띄게 나타나지 않는다. 박 위원장의 지원 유세에도 불구하고 지난달 31일∼이달 1일 실시한 방송 3사 조사에서 서울 종로의 새누리당 홍사덕 후보(33.2%)는 민주당 정세균 후보(37.1%)에게 3.9%포인트 뒤지는 것으로 나타나 두 후보의 지지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다만, 수도권에서도 서울 중구, 영등포 등에선 유세 반응이 미지근했던 반면 동대문이나 경기 시흥 등은 재래시장을 중심으로 뜨거운 반응을 보여 차이를 나타냈다.
동정민 기자 ditto@donga.com
고성호 기자 sungho@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