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로변 국보16호 탑, 모자 벗겨진 네 모습 애처롭구나
○ 프랑스의 휘어진 고속도로
탑의 이름은 법흥사지 칠층전탑(法興寺址 七層塼塔). 국보 제16호다. 통일신라시대인 8세기경에 만들어진, 우리나라에서 가장 크고 가장 오래된 전탑이다. 전탑은 흙으로 만든 벽돌을 쌓아 올린 탑인데, 목탑(木塔)과 석탑(石塔)의 중간 단계로 볼 수 있다.
이 탑이 있던 법흥사란 사찰은 이미 조선조에 억불정책으로 없어진 것으로 전해진다. 현재 법흥사 자리에는 고성 이씨 탑동파 종택이 들어서 있다.
작고한 이규태 전 조선일보 논설고문이 프랑스 여행 중 맞닥뜨린, 기묘한 고속도로에 대해 쓴 적이 있다. 그 고속도로는 아무것도 없는 평야에 있었지만 똑바르지 않고 휘어진 모양새였다. 궁금해서 현지인에게 이유를 물었더니 “(초석 몇 개가 있는 지점을 가리키며) 바로 저곳에 몽테스키외(프랑스 계몽시대의 정치학자)가 별장을 짓고 살았다. 그 현장을 보존하기 위해 고속도로를 휘어지게 만들었다”는 답이 돌아왔단다. 이 전 고문은 그 말을 듣고 우리나라의 문화재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다고 한다.
굽어진 고속도로 이야기는 문화재를 바라보는 관점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깨닫게 해 준다. 교통이 발달하면서 우리나라의 많은 문화재들이 제자리를 잃고 새 자리로 옮겨졌다. 그 위치 자체에 의미가 있었던 독립문이나 덕수궁의 대한문도 도로 때문에 자리를 옮겨야 했다. 그렇게 해서 우리들이 절약할 수 있는 시간이 얼마나 된다는 말인가.
○ 탑이 떨고 있는 것인가
스케치에 좋은 위치를 찾다 철길 축대에 올라가 방음벽 아래 앉았다. 탑 전면의 왜곡이 적은, 마음에 드는 자리였다. 하지만 그림을 그리는 동안 지나가는 열차의 진동 때문에 잠시 스케치를 멈춰야 했다. 뒤로는 방음벽이 있었지만, 떨림이 몸 전체로 고스란히 전해져왔다. 과연 벽돌로 만든 저 탑은 괜찮은 것일까. 걱정을 하지 않을 수 없었다.
누군가가 가장 위 마지막 벽돌 한 장을 올려놓자 탑신이 완성된다. 마침내 금동 상륜부(相輪部·원기둥 모양의 장식이 있는 탑의 꼭대기 부분)까지 앉혀진다. 공사에 참여했던 사람들의 환호성이 있었을까, 아니면 엄숙한 불가의 의식이 이어졌을까. 어찌되었든 먼 훗날 후세들에게 남겨줄 자랑스러운 건축물에 대한 자긍심은 그 자리에 있는 모두의 가슴에 충만했으리라.
그러나 다음 열차가 지나가면서 짧은 상상은 이내 깨어져 버리고 눈앞에 또다시 현실이 펼쳐졌다. 거친 철로의 소음 속에 올려다 본 탑에는 상륜부도 기와도 남아있지 않다. 가벼운 떨림이 끊임없이 마음 한쪽을 흔들었다. 열차로 인한 떨림인지 탑이 떨고 있는 것인지 알 수 없었다. 그저 오랜 세월이 지난 뒤 우리의 후세들은 이 자리에서 이런 기분을 느끼지 않게 되기만을 간절히 바랄 뿐이었다.
이장희 일러스트레이터 www.tthat.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