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구 국회의원 후보 정당별 득표수 현황 자료를 보면 총유효투표수 2154만5326표 가운데 새누리당은 932만4911표, 민주당은 815만6045표, 통합진보당은 129만1306표를 각각 얻었다. 민주당과 통진당의 득표수를 합하면 총 944만7351표로 새누리당보다 12만2440표 많다.
특히 낙동강벨트(부산)의 성적도 내용을 찬찬히 뜯어보면 새누리당으로선 긴장할 대목이 적지 않다.
그러나 16 대 2의 의석 비율과 달리 부산지역 정당득표율에서는 새누리-선진당이 53.19%를, 민주-통진당이 40.2%를 얻었다. 득표율 비율은 8 대 1이 아니라 6 대 4에 가까웠다. 선거구마다 ‘각개전투’에서는 졌지만 민주-통진당이 얻은 정당득표율은 위협적이라는 것이다. 경남에서도 민주-통진당은 16석 중 1석밖에 건지지 못했지만 정당투표에선 36.14%를 얻었다. 6곳에서 전패한 울산에서도 민주-통진당은 41.52%를 얻었다.
2010년 6·2지방선거 때도 민주당 김정길 부산시장 후보가 44.5%를 얻었다. 새누리당의 ‘텃밭’인 부산-경남에서도 40% 안팎의 야권 성향 표가 존재한다는 점이 거듭 확인된 것이다.
2002년 대선에서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은 부산에서 29%를 득표했다. 당시 노 전 대통령은 수도권 호남 충청권의 지지에 부산-경남의 표를 보태 대선에서 승리했다. 올해 12월 대선 때 부산에서 40%가 넘는 표가 야권 후보에게 간다면 여권 후보는 2002년 대선 때보다 훨씬 어려운 싸움을 해야 한다.
이번 총선의 투표율이 54.3%밖에 되지 않았다는 것도 여권 후보가 대선에서 승리를 낙관하기 어려운 근거다. 2007년 대선 투표율은 63.0%로 대선 투표율이 총선보다 높은 것이 일반적이다. 더욱이 올해 대선은 일방적인 구도 속에서 맥이 빠진 채 진행됐던 2007년 대선과 달리 여야가 사활을 건 승부를 벌일 것으로 보인다. 국민적 관심도 높아져 5년 전보다 투표율이 더 올라갈 수도 있다. 야권은 2030세대의 적극적인 투표 참여를 촉구하는 등 투표율 높이기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 정치권의 한 인사는 “새누리당이 이번 총선 승리에 안주할 것이 아니라 취약한 수도권 청년층의 마음을 잡는 등 전체적인 정치 지형을 바꿔야만 대선 승리를 기약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