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해진함-소해함 4척이 수색… 150m 해군 심해잠수사 투입
군 당국은 13일 서해에 해군 구난함인 청해진함 등을 투입해 공중 폭발한 북한 장거리로켓의 잔해 수거작업에 착수했다. 로켓의 잔해를 분석하면 발사 실패 원인은 물론이고 북한의 우주항공기술 수준 등을 분석할 수 있다.
잔해는 사고 원인을 분석하는 데 결정적인 단서다. 2010년 나로호의 발사 실패 때도 한국-러시아 공동조사단이 로켓의 잔해를 수거해 조사했다. 당시엔 사고 원인을 직접 밝혀내지 못하고 참고자료를 얻는 데 그쳤지만 해외에서는 잔해 분석으로 사고 원인을 밝혀낸 사례가 많다. 한정식 국방과학연구소(ADD) 연구원은 “사소한 것도 분석하면 예상과 다른 해답이 나오기도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제품으로 설계도를 유추하는 공학기술인 ‘리버스 엔지니어링’을 이용해 발사체 등 북한의 총체적인 항공우주기술 수준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조광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나로호발사추진단장은 “추진체, 엔진 등을 확보하면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며 “특히 엔진은 설계기술과 연료공급장치 형태 등을 분석하는 데 중요하다”고 말했다.
해군은 청해진함과 함께 지뢰탐지함인 소해함 4척을 현장에 파견했다. 소해함에는 수중의 금속물을 탐지하는 ‘사이드 스캔 소나’가 달려 있다. 음파탐지기를 갖춘 초계함 등 함정 10여 척도 바닷속의 금속물질을 탐지하고 있다. 천안함 폭침사건 때 동원된 쌍끌이 어선이 투입될 수도 있다. 쌍끌이 어선은 해저를 훑기 때문에 마지막에 검토되는 방법이다.
이유종 기자 pen@donga.com
대전=전승민 동아사이언스 기자 enhanced@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