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일보 DB
서원건축의 누마루는 이즈음 나타난 것이 아닌가 추측된다. 재사건축이 가문 간의 결속을 위한 콘퍼런스 홀이었다면, 서원건축은 후기로 갈수록 학파의 정치적 결속을 위한 콘퍼런스 홀로 변해갔다.
경주 안강의 옥산서원(玉山書院)은 서원건축이 갖고 있는 기능 가운데에서도 서책을 보관하고 편찬하는 기능을 가장 뚜렷하게 보여준다. 옥산서원은 이언적을 향사(享祀)하기 위해 1572년 건립했는데, 다음 해인 1573년 경주부에서 ‘삼국사기’를 옥산서원에 수장하게 했다. 그러나 1592년 임진왜란으로 옥산서원 경각에 있는 서책 일부가 홍문관으로 옮겨졌는데, 이때 ‘삼국사기’는 홍문관으로 보내지 않고 옥산서원 근처의 독락당 어서각의 서책과 함께 도덕암에 일시 보관되었다. 그러다 난리가 끝난 후 다시 독락당 어서각에 보관되어, 일제강점기의 수탈과 6·25전쟁의 포화 속에서도 유실되지 않고 전해지다가 1972년 옥산서원에 수장고인 청분각(淸芬閣)이 세워지자 독락당 어서각에 있던 ‘속대학혹문(續大學或問)’과 함께 청분각으로 이관되었다. 실로 유구한 세월 동안 책을 보관하는 임무를 충실히 한 것이다.
배우는 학생들을 어르고 때리는 매로써 그만한 게 없을 것 같다. 이 이층 무변루에는 특이하게도 온돌방이 설치되었다. 일층을 메워 적당한 높이에 고래를 들이고 이층 온돌방을 데우게 했다. 제사에 참석하는 사람들을 위한 배려였을까.
시인·건축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