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 해양플랜트 개발-생산 전폭 지원하기로
해양플랜트는 바다에서 석유나 가스를 채취·생산하는 데 필요한 설비로, 배와 플랜트를 결합한 형태다. 일반 상선보다 최고 20배 이상 값이 비싸 조선업계의 수주 경쟁이 치열하지만 고도의 제작기술이 필요한 해양플랜트는 중국 등 신흥국 조선사는 일감을 따내기 쉽지 않은 고(高)부가가치 선박이다.
지식경제부는 9일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열린 비상경제대책회의에서 국내 해양플랜트 기술력 강화 및 수주 규모 확대를 뼈대로 하는 ‘해양플랜트 산업 발전방안’을 보고했다고 밝혔다. 이번 보고에서 지경부는 우리나라의 해양플랜트 수주액을 지난해 257억 달러(약 29조 원)에서 2020년 800억 달러로 확대하고, 해양플랜트 제작에 필요한 장비와 기자재의 국산화율도 지난해 40%에서 2020년 60%로 늘리기로 했다.
윤상직 지경부 1차관은 “최근 석유공사 등이 해상광구를 사들여 한국의 해외 광구 보유가 늘어나고 있다”며 “동해 지역에서도 광구 개발이 추진되는 만큼 이를 적극 활용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지경부는 또 △국산 기자재 경쟁력 강화 △전문인력 양성을 통한 설계기술 확보 △해양플랜트 클러스터 조성 등을 통해 관련 경쟁력을 키우기로 했다.
지경부는 “해양플랜트 전문가 부족 문제는 조선 분야 설계 인력을 해양플랜트 설계 인력으로 전환해 해결할 것”이라며 “조선공학 중심인 대학교육도 해양플랜트 쪽으로 유도하고 엔지니어링 대학원을 통해 석박사급 해양플랜트 인재도 양성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국내 조선업계 수주에서 해양플랜트가 차지하는 비중도 빠르게 늘고 있다. 지난해 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등 국내 조선 3사의 매출액은 총 506억 달러로, 이 중 해양플랜트 수주 실적이 257억 달러에 달해 이미 일반 상선 수주액(249억 달러)을 넘어섰다.
임우선 기자 imsu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