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청렴도의 척도인 CPI는 세계은행 세계경제포럼 등의 기업인 및 애널리스트 대상 설문조사 결과로 산출한다. 뇌물을 받는 쪽의 부패(공공 부패)에 초점을 맞춘다. CPI를 보완하는 뇌물공여지수(BPI)는 중역 이상 기업인을 대상으로 뇌물을 주는 쪽의 부패(민간 부패)를 측정한 값이다. 한국의 지난해 BPI는 조사 대상 28개 국가 중 13위였다. 세계부패 바로미터(GCB)도 참고지표다. 일반인이 각 분야에서 경험한 부패의 정도를 반영한다. 한국은 2010년 GCB에서 ‘가장 청렴한 국가’(뇌물 제공 경험 6% 미만)에 들었지만 국민의 절반 이상은 정부의 반(反)부패 정책에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183개 국가 중 43위면 상위권 아니냐고 자위(自慰)할 일이 아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4개 회원국 중에서는 27위로 최하위권이다. 10점 만점에 7점대라야 ‘보편적으로 청렴한 사회’에 해당하는데 한국은 10년째 5점대에 머물러 있다. 이 정부 들어 국가청렴위가 국민고충처리위, 국무총리행정심판위와 함께 국민권익위로 통합됐다. CPI 9.3으로 국가청렴도 1위인 뉴질랜드에선 불법 정치자금과 부패 사건을 전담하는 반부패 독립기관 SFO가 영장도 없이 비리 혐의자와 제3자를 조사할 수 있다.
이형삼 논설위원 hans@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