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선자 161명 설문조사
많은 전문가는 대한민국 국회가 후진성을 벗어나지 못하는 근본 이유로 ‘당론정치’를 꼽아 왔다. 헌법기관인 국회의원 개개인이 공천권을 쥔 당 지도부의 결정에 끌려다니면서 정치에서 ‘타협과 조정’ 기능이 사라져 버렸다는 얘기다.
19대 국회부터는 다수결이 아닌 ‘5분의 3’이라는 새로운 게임의 룰이 적용되는 만큼 당론에서 벗어난 크로스보팅(자유투표)의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 절반에 가까운 당선자의 크로스보팅 다짐은 어떤 공약의 실천보다 중요하다는 얘기가 나오는 이유다. 하지만 대선을 앞두고 당론과 배치되는 소신 투표, 소신 발언이 과연 가능하겠느냐는 의구심도 크다.
응답자의 70.2%는 ‘여야를 떠나 정부에 협조할 것은 협조하고, 반대할 것은 반대하겠다’고 답했다. 이는 국회의원이 국민의 신뢰를 잃은 가장 큰 이유로 ‘국민의 뜻은 안중에 없고 정당과 정파의 이익만 앞세웠기 때문’(50.9%)이라는 인식과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의원들의 불체포·면책특권을 없애고 국회 활동에도 ‘무노동 무임금’ 원칙을 적용하는 등 ‘특권의 거품’을 걷어내야 한다는 주장에는 반대 목소리가 컸다.
▶ [채널A 영상] 당권파, 사퇴 압박에도 의원 등록…이들이 누릴 특권은?
44.7%는 무노동 무임금 원칙을 적용하는 데 찬성했지만 불체포·면책특권을 없애는 데 반대했다. 16.8%는 불체포·면책특권의 폐지에는 찬성했지만 무노동 무임금 원칙의 적용에 반대했다. 두 가지 모두 반대한 응답자는 14.3%였다. 반면 두 가지 특권을 모두 없애는 데 찬성한 주장은 20.5%에 그쳤다.
이재명 기자 egija@donga.com
최우열 기자 dnsp@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