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지표 안정적”… 12개월째 금리 동결
우선 발등에 불이 떨어진 곳은 성장동력이 눈에 띄게 약화되고 있는 중국이다. 물가안정 기조를 강조하던 중국은 7일 전격적으로 금리를 인하하고 추가 경기부양책을 내놓을 태세다. 정책목표를 ‘경기부양’으로 급선회한 것이다. 중국의 경기둔화로 연쇄적 타격을 입는 브라질, 호주 등도 사정이 급하기는 마찬가지다.
하지만 막상 위기의 진원지인 유럽은 나라마다 입장 차가 첨예하게 갈려 정책대응 속도가 너무 늦다. 상대적으로 실물경제나 금융시장이 안정돼 있는 미국 영국 일본은 이렇다 할 통화정책의 변화 없이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
브라질도 성장률 급락과 높은 헤알화 가치 등으로 상황이 급박하다. 2010년 7%가 넘던 성장률이 올해 2% 남짓까지 추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인도는 1분기 성장률이 5.3%로 9년 사이 최저 수준이다. 이 나라들은 연내 금리 인하 등 추가 경기부양 계획을 당국자들이 틈나는 대로 기정사실화하고 있다. 특히 최근엔 유로존에서 불붙은 위기가 신흥국으로 전염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대(對)중국 수출이 많은 브라질이 그렇고, 신흥국은 아니지만 ‘원자재 강국’ 호주도 중국의 성장둔화로 비상이 걸렸다.
다행히 유가 및 원자재 가격의 하락으로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줄어들면서 이 국가들이 공격적인 경기부양에 나서고 있다. 중국의 물가상승률은 최근 3%대를 유지하고 있고, 인도도 지난해 10%를 넘나들던 도매물가가 요즘엔 7% 안팎으로 떨어졌다.
가장 사정이 급한 유럽은 더 복잡하다. 유로존 경제는 1분기에 마이너스 성장(―0.1%)을 했고 실업률도 유로화 도입 이후 사상 최고치(11.0%)다. 이런 상황만 보면 금리 인하가 당연해 보이지만 정작 6일 유럽중앙은행(ECB)의 선택은 ‘동결’이었다. 경제상황이 각기 다른 나라들끼리 모인 연합체여서 정치적 합의를 보기 힘든 구조이기 때문이다.
미국과 일본은 이미 사실상 제로금리에 가까워 추가로 통화정책을 펼 여지가 없는 데다 실물경제 충격도 상대적으로 적어 추가적인 경기확장 정책에 다소 소극적이다. 7일 구체적인 부양책을 제시하지 않은 미 연방준비제도(Fed)는 최근 작성한 경기분석 보고서 ‘베이지북’에서 “미국 경제가 전반적으로 완만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유재동 기자 jarrett@donga.com
김철중 기자 tnf@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