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김원중의 한자로 읽는 고전]향음무개빈모쇠(鄕音無改빈毛衰)

입력 | 2012-06-18 03:00:00

鄕: 고을 향 音: 소리 음 無: 없을 무 改: 고칠 개
빈: 귀밑머리 빈 毛: 털 모 衰: 쇠할 쇠




세월의 무상함을 뜻하는 말로 당대의 시인 하지장(賀知章)의 작품 ‘고향에 돌아온 심정을 적다(回鄕偶書)’에 나온다. 하지장은 자가 계진(季眞)이며 스스로 사명광객(四明狂客)이라 불렀으며 당 현종 때 예부시랑(禮部侍郞)이 되기도 하였으나, 만년에는 벼슬을 내던지고 고향으로 돌아가 도사(道士)가 되었다는 인물이다. 시선(詩仙) 이백(李白)을 하늘에서 적선인(謫仙人)이라고 불렀고, 현종에게 추천하기도 했으며 글씨에도 능수능란했는데, 특히 초서와 예서에 능했다. “젊어서 고향 떠나 늙어서야 돌아오니/ 시골 사투리는 변함없으되 머리털만 희었구나/ 아이들은 서로 바라보나 알아보지 못하고/ 웃으면서 어디서 온 나그네냐고 묻네(少小離鄕老大回, 鄕音無改빈毛衰. 兒童相見不相識, 笑問客從何處來).”

시인이 수십 년간의 관직 생활에서 물러나 백발이 성성하게 되어서야 고향 월주(越州)로 돌아가 느낀 감회를 적은 것이 이 시다. 시인이 고향을 떠날 때의 모습은 건장했고 젊음이 배어있었만 이제는 어느덧 그런 모습은 사라지고 반백의 노인으로 변해버렸다. 첫 구 ‘소소리향(少小離鄕)’과 ‘노대회(老大回)’는 오랫동안 객지를 떠돌던 그런 고단한 삶의 무게와 맞물려 늙음에 대한 한탄이 배어 있다. 바로 이어지는 2구에서 시인은 자신에게 남아 있는 사투리와 달리 이미 희끗해진 자신의 머리카락이 안타깝고 원망스럽다. 그러면서도 고향도 자신을 잊지 않고 있으리라 기대했건만 그런 바람은 한순간에 무너진다. 시인의 모습을 그린 자화상이 후반 두 구절에서 짓궂은 아이들의 질문으로 전이(轉移)되면서 이 시의 분위기는 반전되기에 말이다. 반가운 마음과 설레는 마음으로 고향을 갔건만, 자신을 맞이한 사람은 옛날의 벗들이 아니었다. 오히려 천진난만하게 웃는 아이들만이 시인에게 어디에서 온 나그네냐고 물을 뿐이다. 젊은 시절 주인 노릇 하던 고향에 이제는 그저 곧바로 떠나야 하는 객(客)이 되어 돌아왔으니 주객전도(主客顚倒)의 서글픈 감회가 시인의 가슴을 파고들 뿐이다.

김원중 건양대 중국언어문화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