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객운송사업은 과거 도서민의 해상교통권 확보 및 생필품 등 수송수단으로 시장이 형성됐으며 최근엔 주5일제 확산 등으로 여가 문화가 확산되며 해양레포츠 인구의 운송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연안여객운송산업은 광복 후 낡은 소형여객선 60여 척으로 시작됐다. 이후 정부가 미군으로부터 화물선 6척을 대여해 여객선으로 임시 개조해 동·서·남해안 6개 항로에 각각 1척씩 배치했다. 그러나 적자가 지속되자 1956년부터 정부가 국고금 일부를 지원해 일부 도서에 여객선을 추가 배치하고 적자를 보장하기 시작했다.
1980년대 초에는 ‘해운산업 산업합리화’의 일환으로 석유류를 면세 공급하고 여객선 터미널 현대화, 여객선 편의시설 개선 등이 진행됐다.
1가구 1차량이 확산되며 자동차가 늘어나자 차량과 여객을 동시에 싣는 차량운송겸용여객선이 등장해 전국 각 도서지역에 경쟁적으로 취항하기도 했다. 시속 35노트 이상의 초쾌속선이 등장한 것도 이 즈음이다.
여객선이 현대화되고 운송서비스가 향상되자 2003년엔 여객수송 1000만 명 시대를 맞이했다. 2006년 3월부터는 해양수산부장관과 전국 8개 광역자치단체장, 그리고 여객선사 간 협약을 체결해 도서민의 여객선 운임지원을 시작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이 확산돼 모바일기기로 여객선 티켓을 예매할 수 있게 됐다.
연안여객업계 관계자들은 도서민의 유일한 교통수단이자 해상관광수요 충족수단인 연안여객운송사업을 국가적으로 보호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해운조합 관계자는 “최근 교통 불편 등의 이유로 섬에 사는 사람이 점차 줄어들고 있다”며 “육지와 소통을 강화해 해양주권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내 대부분 지역이 반나절 생활권으로 묶인 만큼 섬과 육지 지역이 최소한 일일생활권이 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현재 섬과 육지를 잇는 다리가 건설될 때까지 도서민이 이용하는 여객선 차량운임을 국고로 지원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송충현 기자 balgu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