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파 구로 중구 “나 떨고 있니”
만 0∼2세 무상보육은 시와 자치구의 예산 편성이 이미 끝난 지난해 12월 31일에 국회에서 전격 결정됐다. 무상보육료의 20∼50%를 부담해야 하는 지자체는 예산을 마련할 방법이 없어 국고 지원을 호소해 왔다.
나머지 자치구들은 예산을 쥐어짜고 있다. 애초 서초구와 함께 이번 달부터 영유아 보육료가 부족할 것으로 예상됐던 강남구는 둘째 아이를 낳으면 지급하는 영유아 양육수당 구비 26억 원을 전용해 급한 불을 껐다. 3∼5세 보육료나 출산장려금을 전용하는 구도 있다. 임시방편으로 인건비나 수당 등 다른 예산을 끌어오는 ‘돌려막기’도 동원됐다.
서울시가 자치구에 시비를 지원하는 것도 길어야 8월까지다. 올해 만 0∼2세 무상보육 예산 8011억 원 가운데 확보된 예산은 5506억 원뿐. 매달 평균 700억 원씩 들어가고 있어 9월이면 구비뿐 아니라 국비 시비도 바닥난다.
○ 보육 현장은 혼란 가중
해당 자치구의 엄마들도 분통을 터뜨리고 있다. 친정 엄마에게 한 살배기 아이를 맡기다가 역시 반나절만 어린이집에 보내던 회사원 신모 씨(32·서울 서초구)는 “어머니가 힘들어하시고 공짜라기에 어린이집에 맡겼다. 힘들게 입소했는데 이제 와서 지원이 끊긴다니 황당하다”고 말했다.
이런 불만을 아는 시와 자치구는 씁쓸한 표정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시와 각 자치구 게시판에는 무상보육 중단을 문의하는 글이 이어지고 시장과 구청장을 질타하는 글도 올라온다. 서초구 관계자는 “국비 사업이라면서 국고 부담은 10%에 불과하다. 정부가 무상보육 확대라고 생색만 내고 책임은 지자체에 떠넘기고 있다”고 말했다.
강경석 기자 coolup@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