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AIST 갈등 배경
2006년 7월 취임 후 테뉴어(정년보장) 심사를 강화해 교수 철밥통을 깨면서 일약 대학 개혁의 아이콘으로 떠오른 서 총장이 6년 만에 강제 축출에 직면한 이유는 뭘까. ‘개혁에 저항하는 교수 집단의 반발’인가, 아니면 ‘독선과 불통의 리더십이 가져온 학교 파행의 결과’인가.
○ 연이은 학생 자살로 퇴진 논란 촉발
교수협은 1월 4일 배포한 ‘총장 해임 촉구 배경’ 문건에서 “서 총장은 학교 정책을 독단적으로 결정하고 교수들도 모르는 사이에 언론에 배포해 성과를 과대 포장했으며, 교수협 회장의 면담 요청도 수용하지 않는 독선과 불통의 리더”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서 총장 측은 “정책의 수립과 홍보는 권한과 책임을 위임받은 총장과 보직교수들이 담당하기 때문에 모든 구성원들에게 사전에 알릴 순 없다”며 “교수협에 대통합 소통위원회를 제안했으나 오히려 거절당했다”고 반박했다.
○ “도용과 특혜” vs “조작된 의혹”
교수협은 서 총장이 박모 교수의 ‘모바일하버(움직이는 항구)’ 특허를 가로챘고 전 교육부총리의 아들인 김모 교수를 특혜 채용했다고 주장했다. 또 무리한 펀드 투자로 300억 원가량의 재정 손실을 가져왔다며 퇴진을 요구했다. 특허 도용은 경찰수사 결과 박 교수의 조작으로 드러났다. 서 총장 측은 재정 손실에 대해 “재임 중 일부 기간(2008∼2010년)의 손실분과 평가손을 합친 결과인데 재임 기간 전체로 따지면 429억 원의 투자이익을 봤다”고 반박했다. 김 교수 채용은 해당 학과장이 문제없다고 밝힌 상황이다.
이사회는 “서 총장의 리더십으로는 더이상 학교를 이끌어 갈 수 없다”며 리더십 부재를 지적했다. 이에 대해 서 총장 측은 “무분별하게 의혹을 부풀린 교수협과 여기에 정치적으로 편승한 일부 이사들의 책임”이라고 비판했다.
대전=지명훈 기자 mhjee@donga.com
전승민 동아사이언스 기자 enhanced@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