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음악의 거장들/송지원 지음/408쪽·2만8000원·태학사
풍속화가 성협이 그린 ‘탄금’. 선비들이 거문고 를 타는 모습은 옛 그림에 자주 등장한다.태학사 제공
조선 후기 학자 오희상(1763∼1833)은 거문고의 명인이었다. 그는 거문고를 탈 때 다음의 원칙을 반드시 지켰다고 한다. 오불탄(五不彈)이라 하여 강한 바람이 불고 비가 심할 때, 속된 사람을 대할 때, 저잣거리에 있을 때, 앉은 자세가 적당하지 못할 때, 의관을 제대로 갖추지 않았을 때는 연주하지 않았다.
서울대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교수로 우리 전통 음악의 대중화를 이끌고 있는 저자는 “우리 역사 속 음악인들은 진정성을 가지고 진지한 자세로 음악을 대했다. 학문은 곧 음악이었고, 음악은 곧 마음 수련의 도구였다”고 강조한다. 이 책은 삼국시대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우리의 음악사를 빛낸 거장 52명을 소개한다. 책 속에 담긴 그들의 열정과 노력, 하지만 예인(藝人)이었기에 겪어야 했던 온갖 차별과 경제적, 심리적 고통을 읽다 보면 마음이 저릿해온다.
최초로 국악과 양악의 크로스오버를 실천한 사람이 조선 후기 실학자 홍대용(1731∼1783)이었다는 사실도 흥미롭다. 홍대용은 청나라 사람들이 서양 악기인 덜시머와 쳄발로를 모방해 만든 악기인 양금(洋琴)을 국내에 소개했다.
그런데 연주법을 몰랐던 홍대용은 수년간 노력한 끝에 조선의 고유한 방식으로 양금을 연주할 수 있게 됐다. 조선의 음악인들은 이를 적극 수용해 국악을 한층 더 풍성하게 만들었다.
우리 역사 속 음악인들이 이토록 훌륭했음에 뿌듯함을 느끼는 동시에 우리 음악을 잘 몰랐다는 사실에 반성도 하게 된다. 하지만 책장을 덮고 나니 음악적으로는 뛰어났으나 성격은 괴팍하고 생활력이 없었던 음악인을 남편으로 둔 ‘불쌍한’ 아내들에게도 마음이 간다.
신라의 음악가 백결 선생은 평생 궁핍하게 살았다. 설 대목이 가까워진 어느 날, 떡방아 찧는 소리가 여기저기서 들리자 아내가 한숨을 푹 내쉬었다. “남들은 모두 찧을 곡식이 있지만 우리는 아무것도 없으니 어떻게 설을 쇨까요?” 그러자 백결 선생은 가야금으로 방아 찧는 소리를 연주하며 아내를 위로했다고 한다. 저자는 ‘아내만을 위한 음악’이라며 찬사를 보냈지만, 이 연주를 듣는 아내의 마음이 과연 행복하기만 했을까. 남편을 위해 헌신해야만 했던, ‘이름 없는’ 아내들에게 찬사를 보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