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호 사회부 기자
올여름 남한강에서는 녹조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아직까지’라는 단서가 붙지만 전국 주요 하천 가운데 녹조 논란이 없는 유일한 곳이다. 일부 환경단체의 주장대로 전국적인 녹조현상의 원인이 ‘4대강 사업’이라면 남한강도 녹조의 습격을 피해 갈 수 없었을 것이다. 이유는 아직 확실치 않다. 남조류 포자(씨앗)가 준설로 제거됐거나 흙탕물 때문에 녹조 원인물질이 바닥에 가라앉았을 수도 있다. 다른 곳에 비해 비교적 강수량이 많았고 사업이 일찍 마무리돼 담수량이 충분했던 점도 원인으로 꼽혔다. 실제 올 1∼7월 전체 한강수계의 강수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의 42.9% 수준이지만 남한강 수계는 이보다 많은 75% 수준이었다.
무엇이 남한강 ‘녹조 실종’의 결정적 요인인지는 분명치 않다. 다만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는 것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녹조가 심했던 하천의 경우에도 마찬가지 논리가 적용될 수 있다. 국책연구기관의 한 관계자는 “하천마다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어느 한 곳의 상황을 다른 곳과 단순 비교할 수 없다”면서도 “한강 녹조현상의 원인이 4대강 사업이라는 주장은 신빙성이 낮다”고 말했다. 다만 장기적으로 하천 생태계의 변화는 예의주시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한 정부 관계자는 “4대강 사업이 긍정적인 효과 외에 다른 (부정적인) 영향도 미쳤을 수 있다”면서도 “하지만 녹조의 원인이 전적으로 4대강 사업 때문이라는 주장에는 동의할 수 없다”라고 말했다.
이성호 사회부 기자 starsk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