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종 전 유엔대사
“위안부-독도 한 치의 양보 없다”
우리는 성노예 문제에 관한 한 일본이 법적 책임을 져야 한다는 입장이 확고해야 한다. 외교무대에서는 통치권자의 한마디가 국익과 국격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명박 대통령이 6월 11일 성노예 피해자들에게 “법률적인 것 말고도 인도주의적 조치는 일본 정부가 반드시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일본은 1995년 도의적 책임을 느낀다며 아시아 여성기금을 조성해 피해자들에게 위로금으로 지불하려 했지만 피해자들이 거부했다. 성노예 피해자들이 원하는 것은 일본의 사과와 법적 책임이다.
8월 29일 북-일 회담 전에 도쿄에 관계자를 보내 브리핑을 받아야 했다. 통치권자의 독도 방문 뒤 관계자를 도쿄에 보낼 경우 일본에 약하게 나간다는 인상을 줄 것 같아 보내지 않은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전략적 실수다. 관계자를 도쿄에 보냈다면 북핵문제 같은 국제이슈에 대해서는 일본과 협의할 수 있으나, 성노예 및 독도 문제에 대해서는 한국 정부가 한 치의 양보도 없다는 단호한 메시지를 일본에 전달하는 효과가 있었을 것이다.
국내 여론을 감안해 우리 정부가 9일 예정된 미국 일본 등 10여 개국과의 대량살상무기 확산방지구상(PSI) 훈련에 참가하지 않겠다고 하자 미국 국방부가 반발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입장을 바꿨다. 여러 국가가 참가하는 PSI에 가입한 이상 우리의 의무를 충실히 이행해야 국격이 손상되지 않을 것이다.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가 재집권할 경우 성노예 강제연행을 인정한 과거 담화를 수정하고 헌법 9조 평화조항을 폐지하겠다고 언급했다. 아베 신조는 전 일본 외상 아베 신타로의 아들이다. 신조와 신타로의 ‘신(晋)’은 다카스기 신사쿠(군대를 현대화해 도쿠가와 막부를 무너뜨리고 메이지 유신의 서막을 여는 데 기여한 청년 사무라이)의 ‘신’에서 유래한 것이다. 이는 다카스기 신사쿠의 스승인 요시다 쇼인으로 연결된다. 요시다 쇼인의 ‘조선을 취할 것이냐, 중국을 취할 것이냐’라는 외정(外征) 사상은 이토 히로부미 등 제자들에게 계승돼 조선정벌론으로 발전했다.
日도발 막기 위해 해군력 강화해야
김현종 전 유엔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