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러스트레이션 김수진 기자 soojin@donga.com
전화에 매달리는 사람들은 지금 무슨 생각을 하는 것일까. 악천후의 날씨일수록 마음을 털어놓지 않으면 견딜 수 없는 것일까. 수화기를 통해 들려오는 절절한 내용은 창밖에서 쏟아지는 폭우만큼 세찬 인생 이야기를 많이 담았다. 부부가 고생하면서 살아온 이야기, 그러나 이제는 깨끗한 인생 마무리를 위해 준비해야겠다, 무엇보다 내가 죽을 때 고통받고 싶지 않다, 자식들에게도 부담되기 싫다, 시어머니 시아버지 돌아가시는 모습을 보면서 우리는 맹세를 했다, 저런 식의 무의미한 연명치료는 절대 안 한다는 소박한 시민들의 이야기는 참 명쾌하기도 하다. 그 끝없는 이야기를 들어주느라 봉사자 모두가 지칠 때쯤 나는 일어섰다.
아침부터 저녁까지 시도 때도 없이 울려대는 전화벨 소리가 가끔 환청으로 나타났다. 곰곰이 생각해 보면 그들은 언제부턴가 변해 버린 것 같다. ‘나는 맑은 정신을 가진 성인으로 나 스스로의 뜻에 따라 사전의료의향서(事前醫療意向書)를 작성합니다’를 선언하고 싶어 하는 것이다.
“또 어떤 분은 거기가 안락사 업무 보는 데냐고 물어요. 큰일 났다 싶어 아주 자세히 설명해 드리지요. 절대 그런 데가 아니고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을 요청하는 분들을 도와 드리는 거라고요.”
시골에서는 ‘사전의료보관확인증’을 지갑에서 꺼내 자랑하고 다니는 노인도 꽤 있었다. 그것이 어느 날 ‘생명의 운전면허증’으로 표현되는 아이러니를 낳았다. 그런데 다시 생각해 보니 그 말이 대충 맞는 것 같다. 인간이 더는 치료할 수 없는 말기 상태에서는 내가 고통스러운 곳에 빠져 허우적거리지 않도록 치료 운전을 잘해 주십사 하고 의료진에게 부탁하는 소박한 당부가 그 카드에 담겨 있는 것 같다.
‘삶과 죽음을 생각하는 회’ 홍양희 회장은 이곳으로 걸려 온 전화의 특징을 요약해 주었다. 경기 성남시 분당과 용인시 수지, 고양시 일산지역에 사는 사람들이 서류 작성에 가장 뜨거운 반응을 보인다. 서울 서초구와 강남구 주민들이 뒤를 이었다. 부산 창원 울산 지역도 많았다. 생활이 안정되고 소득이 높은 지역, 은퇴자 인구가 많은 지역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여성들이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에 훨씬 적극적이었다. 남성들의 관심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은 가정 안팎에서 관련 정보 접근에 뒤지고 사교성이 떨어지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래서 서류를 작성할 때는 집안 가장이 참석한 가족회의에서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의견을 나눠 본 후 결정하라고 권장하고 있다.
최철주 칼럼니스트
잠자기 전에는 곱게 접혀 있었던 손수건이 아침에 눈여겨보면 구겨져 있었다. 한참을 지나서야 알았는데 그 수건은 남몰래 흐르는 눈물을 닦는 데 쓰였다. 그러나 아내 눈 가장자리의 눈물자국은 여전했다. 어느 날 수건이 놓여 있던 자리에 한 장의 서류가 놓여 있었다. ‘현재의 의학에서 볼 때 제가 불치의 상태에 있고, 죽음이 다가왔다는 진단이 내려진 경우에는 제 생명을 연장시키는 조치를 일절 하지 마시기 바랍니다’라는 내용을 포함한 몇 개 문장 뒤에 아내의 서명이 들어가 있었다. 아내는 그날 오전 내내 깊은 잠에 빠졌다.
최철주 칼럼니스트 choicj114@yaho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