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월 매매패턴 분석실적 아닌 이벤트 따라 등락… 절반 이상 ‘인맥’ 중심 형성
올 들어 국내 증시에서 기업 실적과는 무관하게 이처럼 황당한 이유로 주가가 급등락하는 정치 테마주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비싼 가격에 매수 대열에 합류한 개인투자자들이 주가 급락으로 큰 손실을 보는 사례도 많다. 대주주가 상승장에 주식을 대량 처분해 이익을 챙기는 ‘먹튀’ 논란도 끊이지 않는다.
테마주 주가는 경영활동과는 상관없는 대선후보들의 이벤트에 따라 움직인 것으로 분석됐다.
또 지난 대선에는 정책을 중심으로 테마주가 형성됐으나 올해는 후보 간에 뚜렷한 정책 차이가 부각되지 않으면서 ‘인맥’ 중심으로 형성된 것으로 조사됐다.
131개 테마주 가운데 대선후보들의 ‘인맥’과 연결된 종목이 절반이 넘는 69개(52.7%)로 가장 많았다. 이어 일자리나 복지와 연결된 ‘정책’ 관련 종목이 49개(37.4%),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관련은 4개(3.0%)였다.
후보별로는 새누리당 박근혜 대선후보 관련 테마주가 53개로 가장 많았고 무소속 안철수 후보 테마주는 35개,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 테마주는 23개였다. 나머지 20개는 민주당 경선 후보들과 관련된 테마주였다.
김현지 기자 nuk@donga.com
송충현 기자 balgu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