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뉴스룸/이승건]지휘자, 해군 제독, 그리고 야구 감독

입력 | 2012-09-25 03:00:00


이승건 스포츠레저부 기자

누가 언제 어디서 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이런 말이 있다. 살면서 꼭 해볼 만한 직업 세 가지가 오케스트라 지휘자, 해군 제독, 그리고 프로야구 감독이라는. 미국의 경우 직업이 3만 개가 넘는다는데 그중 괜찮은 직업을 어디 세 가지만 꼽을 수 있을까만 곰곰이 따져보면 일리는 있는 말이다. 세 직업 모두 그 분야에서 많은 경험을 쌓고 인정받은 사람만 할 수 있으니까. 웬만한 샐러리맨보다 연봉도 훨씬 많으니까. 말 한마디와 손동작 하나로 다양한 개성을 가진 여러 사람을 움직일 수 있으니까.

지난달 프로야구 한화 한대화 감독에 이어 지난주 넥센 김시진 감독이 시즌 중 교체됐다. 그나마 한 감독은 올해로 계약 기간이 끝나지만 김 감독은 2년이나 남은 상태였다.

1982년 프로야구 출범 이후 시즌 중 경질된 감독은 올해를 포함해 32명이다. 1983년 4명으로 정점을 찍었던 ‘시즌 중 감독 교체’ 케이스는 프로야구가 자리를 잡으면서 줄어들었다. 2006년부터 5년 동안은 한 명도 없었다. 그러더니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2명이 나왔다. 문제는 자진 사퇴였던 작년과 달리 올해는 모두 구단의 일방적인 결정이라는 데 그 심각성이 있다.

시즌 중 경질이라는 극약 처방은 아니지만 계약 기간을 채우지 않고 감독을 내보내는 사례도 급증했다. 2년 전 이맘때 8개 구단 감독 가운데 지금도 같은 팀을 맡고 있는 감독은 한 명도 없다. 당시 삼성에 있다 올해부터 KIA 사령탑을 맡고 있는 선동열 감독을 빼곤 모두 바뀌었다. 그중 계약 기간을 온전히 채우고 물러난 이는 롯데 제리 로이스터 감독뿐이다. 상호 신뢰가 바탕이 돼야 할 계약서가 그저 종잇조각에 불과하다.

700만 관객 시대라고 하지만 해마다 모기업에서 수백억 원을 쏟아부어야 하는 현실을 감안하면 구단의 입김이 센 것은 어느 정도 불가피한 일이다. 하지만 힘은 쓸 데 써야 한다. 감독 임기를 제멋대로 줄이는 데 쓰는 것은 남용이다. 이런 현실이라면 감독은 조급증이 생길 수밖에 없다. 눈앞의 성적만 보고 나중은 생각하지 않는다. 감독을 바꾼다고 당장 성적이 좋아진다는 보장도 없다. 결국 야구는 선수들 하기 나름이기 때문이다.

미국 메이저리그에서 1976년 자유계약선수(FA) 제도가 도입되기 전만 해도 감독의 권한은 절대적이었다. 이제 세상은 변했다. 감독보다 훨씬 많은 연봉을 받는 선수가 부지기수다. 그래도 감독의 역할은 변하지 않았다. 그라운드에서 벌어지는 모든 일에 대한 결정은 감독의 몫이다. 그런 감독이 언제든지 잘릴 수 있는 존재라는 걸 알게 되는 순간 선수들은 감독을 우습게 본다. 성적이 나쁠 때 쫓겨나는 사람이 선수가 아니라 언제나 감독인 팀이라면 누가 사령탑을 맡아도 영(令)이 설 리 없다.

‘감독들의 무덤’이라고 불리는 LG는 2002년부터 지난해까지 10시즌 동안 6차례 감독을 바꿨다. 1990년대까지만 해도 수시로 감독을 교체했던 삼성은 같은 기간 감독을 두 번 교체했을 뿐이다. 삼성은 이 기간에 9차례 포스트시즌에 진출해 4차례 우승했고 LG는 2002년을 끝으로 한 번도 포스트시즌에 나가지 못했다.

감독이 잘해서 구단이 믿는 걸까, 아니면 구단이 믿어줘서 감독이 잘하는 걸까.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 같은 대답하기 어려운 문제지만 이것만큼은 확실하다. 요즘 한국 같으면 ‘꼭 해볼 만한 직업 세 가지’에서 프로야구 감독은 빠져야 한다.

이승건 스포츠레저부 기자 wh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