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워 타운 ★★★☆ 죽음만이 진짜라는 섬뜩함달빛 속으로 가다 ★★★☆ 어두운 과거에 대한 씻김굿
죽음은 담담하게 받아들여야 할 삶의 연속인 걸까, 아니면 새로운 삶을 위해 반드시 풀고 넘어가야 할 매듭인 걸까. 대조적인 방식으로 죽음을 응시한 연극 두 편이 나란히 공연 중이다. 하나는 20세기 초 미국 동북부 작은 마을을 무대로 한 미국 극작가 손턴 와일더의 ‘아워 타운’(한태숙 연출)이다. 다른 하나는 20세기 말 심심산골 암자를 무대로 한 한국 극작가 장성희의 ‘달빛 속으로 가다’(김철리 연출)이다.
생동감 넘치는 1막과 2막에서는 의자를 제외하곤 무대를 텅 비워 연극연습현장처럼 진행되던 한태숙 연출의 ‘아워 타운’은 죽음을 다룬 3막에서 공들인 대형 세트로 텅 빈 무대를 채워간다. 명동예술극장 제공
연극에서 그 망원경의 배율을 조절하는 이가 무대감독(서이숙)이다. 무대감독 역의 배우는 이야기를 풀어내는 다른 배우들의 연기를 조율하면서 관객들이 객관적 시각을 유지하도록 끊임없이 극의 흐름에 개입한다.
인간의 어둡고 축축한 내면세계에 현미경을 들이대 왔던 연출가 한태숙은 생동감 넘치는 1막과 2막에선 무대를 거의 텅 비워둔 채 연극연습처럼 이야기를 풀어가다 3막에서 섬세한 대형 세트로 채워간다. 그것은 ‘삶은 죽음을 위한 연습’이라는 관점을 넘어서 ‘삶은 가짜에 불과하고 죽음만이 진짜배기’라는 섬뜩함을 심어준다.
의문사와 실종이라는 현대사의 아픔을 따뜻한 달빛의 힘으로 치유하기를 꿈꾸는 연극 ‘달빛 속으로 가다’. 연출가 김철리 씨는 원작은 손을 대지 않으면서 무대 벽면을 스크린 삼아 연출가의 현실비판 메시지를 우회적으로 담아냈다. 서울시극단 제공
“사람은 숨이 다해 죽는 게 아니라우. 아무도, 가슴속에 품고 있는 이가 없으면 그제야 죽는 거라우. 처니(처녀)가 죽으믄 청년은 누가 기억해 주겠수. 가슴에 이래 품고 있다가 세월이 놓아주면 훨훨 끈 떨어진 연처럼 저세상으로 보내 주시우” 같은 아름다운 우리말 대사가 일품이다. 또 이를 풀어가는 배우들의 개성 넘치는 연기도 볼만하다.
20세기의 아픔을 씻어내고 희망의 21세기를 열어가자는 염원이 담긴 이 작품의 초연무대를 연출했던 김철리 씨는 12년 만에 같은 작품을 올리면서 원작의 ‘따뜻한 달빛’에는 거의 손을 대지 않았다. 다만 무대 좌우 벽을 스크린으로 활용해 새천년에도 등장인물들의 번민과 방황이 끝나지 않았음을 암시하는 영상을 투영함으로써 21세기에도 여전히 ‘스산한 달그림자’에서 헤어나지 못하는 현실을 차갑게 직시한다.
: : i : : ‘아워 타운’은 14일까지 서울명동예술극장. 2만∼5만 원. 1644-2003. ‘달빛 속으로 가다’는 7일까지 서울 세종로 세종문화회관 M씨어터. 1만∼2만 원. 02-399-1137
권재현 기자 confetti@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