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수원시 20대 여성 토막 살해범 오원춘과 두 아이의 엄마를 성폭행하려다 살해한 서진환 등 반인륜적 흉악범이 나타날 때마다 여론은 사형제를 놓고 들끓었다. 1997년 12월 30일을 마지막으로 사형이 집행되지 않아서다.
“국가가 왜 법을 어긴 사형수를 오랜 시간 동안 세금으로 먹여 살리느냐” “흉악범들은 감옥에서 먹고 노는데 유족은 평생을 상처와 싸워야 하는 게 말이 되는 소리냐”는 지적이 잇따랐다. 사형제가 유명무실해졌다는 비판이다.
헌법재판소는 이미 두 차례에 걸쳐 사형제가 헌법에 어긋나지 않는다고 판결했다. 헌재는 1996년과 2010년 “제한적인 경우에만 부과되는 사형은 범죄에 대한 응보형으로 고안된 필요악으로, 여전히 제 기능을 한다”고 결정했다. 그렇지만 15년 동안 사형 집행이 이뤄지지 않으면서 정부는 한 해 13억 원가량을 사형수에게 쓰고 있다. 현재 사형수는 60명이다. 이들에게 살해된 사람은 207명이다.
대선주자도 신중모드다. 박근혜 새누리당 대선후보는 “그냥 (사형제를) 없애버리자는 건 다시 생각할 필요가 있다”며 “사형제는 유지하되 집행은 신중하게 검토해야 한다”고 했다.
반면에 문재인 민주통합당 대선후보는 “사형제에 반대한다”는 견해를 분명히 하면서도 “사형제를 형법에서 완전히 삭제하는 것은 국민의 법 감정과 관련 있는 문제이기 때문에 시간이 필요하다”고 했다. 안철수 후보는 “당분간 사형 집행을 하지 않는 현 상태를 유지하겠다”고 했다. 다만 안 후보는 “사형제 폐지에 관한 사회적 논의를 거쳐 존폐를 결정할 수 있다. 국민의 동의와 합의 과정이 필요한 사안”이라고 말했다.
박승헌 기자 hparks@donga.com